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Research Ethics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정책개발연구
약어 : 정책개발연구
2013 vol.13, no.2, pp.111 - 141
DOI : 10.35224/kapd.2013.13.2.005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연구분야 : 정책학
Copyright © 한국정책개발학회
120 회 열람

본 연구는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를 둘러싼 주요 쟁점들에 관해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책연구기관 연구보고서에 요구되는 연구윤리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위조, 변조, 표절, 중복게재, 부당한 저자 표시 등의 연구부정행위를 하지 않는 것이며, 현재 표절과 중복게재가 가장 심각한 문제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윤리를 확립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구윤리평가를 이용하는 것은 긍·부정적 양면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현재와 같은 사전적 연구윤리평가방식은 여러 논란의 빌미를 제공하는 등 부정적 측면이 강하므로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현행 연구윤리평가를 지속하더라도 평가의 근거를 비롯하여 목적, 기준, 방법, 결과활용 등에 관해 개선할 점이 많다. 평가의 전 과정에서 국책연구기관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평가 근거 및 목적의 명확화, 평가기준 보완 및 구체화, 표절검색시스템 구축 등 평가방법 개선, 그리고 평가결과 활용 범위 재조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exploring controversial issues regarding currently running research ethics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nd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research ethics required in reports of the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must be not performing fabrication, falsification,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 and inappropriate authorship. And it has been proved plagiarism and redundant publication are highly problematic. Second, utilizing evaluation for consolidating research ethics should be approached cautiously as there are both aspects of strength and weakness. The priori research ethics evaluation system currently used should be reconsidered as it has the negative aspect including providing the reason for political debate. Third, while we continue to evaluate the research ethics,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system. Clarification of the basis and purpose, supplementation and actualization of evaluating standard, establishment of the ‘plagiarism search system' will be conducive to improvement of the system.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must be considered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evaluation. Adjusting the scope of utilization is also necessary aspect to be considered.

연구회, 국책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윤리, 평가, 표절
Research Council,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Research Ethics, Evaluation, Plagiarism

  • 1. [단행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12 / 연구윤리 사례집
  • 2. [보고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12 / 연구윤리 평가제도 개선 연구보고서 결과보고
  • 3. [단행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13 / 연구윤리 평가기준 및 사례집
  • 4. [단행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13 / 2013년도 연구기관 평가편람
  • 5. [보고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13 / 2012년도 연구보고서 연구윤리 평가단 제1차 전체회의
  • 6.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 7.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1 / 좋은 연구 실천하기
  • 8.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1 / 연구윤리의 이해와 실천
  • 9.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해외 연구윤리 확립 활동 사례 / 드림디앤디
  • 10.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6 / 연구 윤리 소개 / 여성신문사 출판부
  • 11.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외국 대학의 연구윤리 확립 활동 사례
  • 12. [보고서] 국회정무위원회 / 2009 / 2009년도 국정감사결과보고서
  • 13. [학술지] 김문조 / 2010 / 과학선진국의 연구윤리 가이드라인과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미국 · 영국 · 독일 · 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 / 담론201 / 13 (2) : 05 ~ 2 kci
  • 14. [단행본] 김병철 / 2009 / 메타평가론 / 학국학술정보
  • 15. [학술지] 김홍수 / 2009 / 중국 연구윤리의 제도화와 그 평가 /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2 (2) : 79 ~ 2 kci
  • 16. [보고서] 남형두 / 2011 / 국책연구 품질제고를 위한 연구윤리제도 정착방안 연구
  • 17. [기타] 뉴스1 / 2012 / 학단협 "문대성·정세균 등 19대 국회의원 당선자 7명 논문 표절 맞다"
  • 18. [기타] 동아일보 / 2013 / ‘아니면 말고’ 표절공세... 상아탑 멍들고 당사자엔 낙인
  • 19. [단행본] 강진령 / 2013 /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학지사
  • 20. [단행본] 민중서림편집국 / 2002 / 엣센스 국어사전 / 민중서림
  • 21. [학술지] 배수한 / 2012 /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예방교육 시스템 구축방안 /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5 (1) : 73 ~ 1 kci
  • 22. [단행본] 산업기술연구회 / 2012 / 2013년도 산업기술연구회 소관연구기관 평가편람
  • 23. [학술지] 손화철 / 2007 / 한국 대학의 연구윤리교육 실태 분석 / 철학사상 (24) : 143 ~ 24 kci
  • 24. [기타] 영남일보 / 2013 / 국책 연구과제 표절 ‘심각’
  • 25. [학술지] 이인재 / 2007 /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인용과 표절의 이해 / 윤리연구 / 1 (66) : 1 ~ 66 kci
  • 26. [학술지] 차재권 / 2013 / 19대 총선에서의 논문 표절 문제와 연구윤리 /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6 (1) : 45 ~ 1 kci
  • 27. [단행본] 채서일 / 2005 / 사회과학조사방법론 / B&M books
  • 28. [학술지] 최용성 / 2009 / 연구윤리에서의 표절 문제와 표절 예방교육에 관한 연구 /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2 (2) : 25 ~ 2 kci
  • 29. [학술지] 최훈 / 2007 / 연구 부정행위와 연구 규범 / 과학철학 / 10 (2) : 103 ~ 2 kci
  • 30. [인터넷자료]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 Guidelines for the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 Ethics and the Publication Process
  • 31. [학술대회] Chelimsky, Eleanor / 1977 / An Analysis of the Proceeding of a symposium on the Use of Evaluation by Federal Agencies / Symposium Report / 2
  • 32. [인터넷자료] Council of Writing Program Administrators / Defining and Avoiding Plagiarism: The WPA Statement on Best Practices
  • 33. [인터넷자료] / Dupli Checker
  • 34. [인터넷자료] ESF(European Science Foundation)· / Research Integrity: global responsibility to foster common standards
  • 35. [단행본] ESF(European Science Foundation) / 2008 / Stewards of Integrity : Institutional Approaches to Promote and Safeguard Good Research Practice in Europe
  • 36. [인터넷자료] ESRC(Economic and Social Research Council / ESRC Framework for Research Ethics(FRE) 2010
  • 37. [단행본] Gibbons M / 1994 /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The Dynamics of Science and Research in Contemporary Societies / Sage
  • 38. [단행본] National Advisory Board on Research Ethics / 2006 / Research Ethics
  • 39. [인터넷자료] / Plagiarism Checker
  • 40. [인터넷자료] / Turni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