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한국 박사인력 실태 분석에 관한 소고

A Study on Analysis of Doctor Human Capital Statue in Korea

취업진로연구
약어 : 취진연
2015 vol.5, no.3, pp.59 - 81
DOI : 10.35273/jec.2015.5.3.004
발행기관 : 한국취업진로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취업진로학회
119 회 열람

한국 박사인력에 관한 실태 분석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력 양성 단계인 박사과정과 인력 활용 단계인 박사학위 소지자를 살펴보고 정책적 제언을 하는데 있다. 박사인력의 특성을 개인적 차원과 구조적 차원으로 나누어 왜 박사인력에 대한 실태 분석이 필요한지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박사과정 교육 개편과 취업진로 프로그램 필요, 박사인력 통계의 사전 제공, 전공별 취업 안내와 지원 필요, 박사인력 근무 환경 조성 등의 정책적 제언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세부 영역별로 목적과 내용에 차이가 있었지만 정책적 시사점은 유사했다. 2014년 박사인력 통계를 바탕으로 대학원과 대학원생 인원 증가, 대학원별 차이, 전공별 특성, 여성 박사인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학원과 박사인력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단 고등교육기관과 대학원 인원의 급격한 팽창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사회 변화에 따른 고학력 수요 증가로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의 박사인력은 최근 몇 년 간 증가 추세로 구조적 문제가 전반적인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해당 분야의 연구개발교육 전문가인 박사인력의 개인적 차원의 문제와 연결해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정부가 한국의 박사인력 실태를 최대한 세밀하게 파악해 통계자료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박사인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고용 시장 확대와 인력 활용이 가능한 직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셋째, 정부・기업・대학이 전공별로 진로취업 관련 프로그램을 박사과정 시기부터 체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박사인력이 적재적소에서 자신의 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정부나 기업이 일정한 역할을 해야 한다. 이로서 박사인력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동시에 결과적으로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doctor haman capital statue in Korea. I examine the training course and doctoral degree of workforce. I propose policy about doctor haman capital statue improvement. I divid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dimension and the structural dimension investigate why the need for Dr Analysis. The difference in objectives and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dimension but policy implications were similar to prior research. Based on 2014 statistics, graduate and doctor increases personnel, graduate differences were analyzed for the majors characteristic, female doctoral personnel. The government take advantage of doctor development policy, it is important to prepare personnel unemployment and appropriate measures on the structural unemployment. It is implemented current government employment policy target of lower unemployment. But government should pursue doctoral training and utilization different perspective. Korea Graduate School has rapidly increased quantitative doctorate degree holders 10,000 people per year. The government manages them and describes in time. We pay attention to personally doctor policy between improved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spects to the quality of life. First, the government is possible to build the statistics about doctor statue. Second, how to re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doctor is to utilized employment and labor market expansion. Third, governments, corporations and universities are necessary to operate systematically career employment-related programs as majors. Fourth, doctor personnel should play a role governments or companies can show their ability to make good on the loading place. It is different to manage doctor major course. There is also a need to find the reason for that difference in overall statistics and statistics to women. How the actual matches of workforce and Major duties. It is to establish whether any changes to existing work or duties will be helping to assess the value of the doctorate. It is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that government is contemplating the use of positive measures. As a result, doctor workforce can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while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박사과정, 박사학위, 여성박사, 박사인력, 대학원 교육
Doctor Course, Ph.D., Female Ph.D., Doctor Human Capital, Graduate Education

  • 1. [보고서] 교육부 / 2014 / 교육통계연보
  • 2. [보고서] 김민정 / 2012 / 고급 전문 인력의 직무만족도와 해외 유출 요인 분석 : 1 ~
  • 3. [학술지] 김민정 / 2012 / 박사인력의 직무 만족도와 해외 이주 계획 결정요인 분석 / 한국행정학보 / 46 (4) : 157 ~ 4 kci
  • 4. [보고서] 김안국 / 2010 /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 ~
  • 5. [학위논문] 김영재 / 2012 / 한국 청년실업 유형별 전략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정부·대학·기업의 협력을 중심으로
  • 6. [학술지] 김영재 / 2012 / 한국 청년실업 유형별 전략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취업진로연구 / 2 (1) : 67 ~ 1
  • 7. [학술지] 김효선 / 2013 / 신규 여성 박사들의 경력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교육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11 (12) : 685 ~ 12 kci
  • 8. [보고서] 남재량 / 2010 / 청년층 노동시장 진입 및 정착방안 연구 : 1 ~
  • 9. [학술지] 민무숙 / 2002 / 여자박사의 노동시장내 지위에 대한 여성주의석 해석과 대응 / 한국여성학 / 18 (1) : 173 ~ 1 kci
  • 10. [학술지] 박동운 / 1994 / 국가경쟁력 강화와 고학력 실업문제 / 노동경제논집 / 17 : 441 ~
  • 11. [보고서] 송창용 / 2014 / 박사조사(2014) : 1 ~
  • 12. [기타] 송창용 / 2012 / 국내 박사의 학비 조달 실태 / KRIVET Issue Brief(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 ~
  • 13. [기타] 송창용 / 2013 / 국내 신규박사학위 취득자의 고용 현황 / The HRD Review(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52 ~
  • 14. [기타] 송창용 / 2013 /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특징 / KRIVET Issue Brief(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 ~
  • 15. [학술지] 송창용 / 2014 / 국내 이공계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고용 현황 / The HRD Review : 168 ~
  • 16. [기타] 송창용 / 2014 / 국내 박사학위 취득자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 / KRIVET Issue Brief(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 ~
  • 17. [학술지] 송창용 / 2014 / 국내 인문사회계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고용 실태 / The HRD review : 116 ~
  • 18. [보고서] 송창용 / 2014 / 박사조사(2014) : 1 ~
  • 19. [보고서] 신선미 / 2010 / 여성 박사인력 교육-고용 불일치 실태와 과제 : 1 ~
  • 20. [학술지] 신선미 / 2013 / 미취업 여성청년층의 현황과 고용정책 과제 / 취업진로연구 / 3 (2) : 60 ~ 2
  • 21. [보고서] 엄미정 / 2011 / 연구개발인력 경력개발과 고용촉진 전략 : 1 ~
  • 22. [학술지] 엄미정 / 2012 / 연구개발인력 경력개발과 고용촉진 전략 / 과학기술정책 / 22 (1) : 3 ~ 1
  • 23. [보고서] 오병기 / 2008 / 청년실업 현황과 취업확대 방안 : 1 ~
  • 24. [학위논문] 이은혜 / 2013 / 대학교원의 박사학위 취득대학과 임용대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25. [학술지] 이종구 / 2014 / 『취업진로연구(2011-2013)』의 학술적 가치와 연구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취업진로연구 / 4 (2) : 63 ~ 2 kci
  • 26. [학술지] 장미혜 / 2001 / 미취업 여자 박사의 경험과 좌절 / 한국여성학 / 17 (2) : 157 ~ 2
  • 27. [기타] 정성미 / 2010 / 20대 청년 노동시장 동향분석 / 노동리뷰(한국노동연구원), 5월호 : 32 ~
  • 28. [보고서] 조가원 / 2010 / 2010 박사인력의 경력과 이동성조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1 ~
  • 29. [보고서] 조가원 / 2012 / 기업부문 박사인력활용 실태조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1 ~
  • 30. [기타] 조가원 / 2012 / 박사인력의 경력과 이동성조사 / 과학기술정책(과학기술정책연구원), 22(1) : 60 ~
  • 31. [단행본] 한국교육개발원 / 2014 / 2014 교육통계 자료분석집 : 1 ~
  • 32. [보고서] 홍성표 / 2010 / 비전임 박사급 연구원의 활성화 방안 연구 : 1 ~
  • 33. [인터넷자료] /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