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도선수들 체력훈련정도가 성취동기 및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를 분석, 파악하는 것이었다. 성취동기를 조사하기 위해 TSMI 설문지와 경쟁상태불안을 검사하기 위해 경쟁상태불안 검사-2(SSAL-2)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368부를 SPSS Statistics 18.0의 프로그램으로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성취 동기에서 체력훈련정도 중 시간와 빈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의 포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기간은 짧을수록 포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불안에서 체력훈련정도에서 시간이 길수록 인지적 상태불안과 상태자신감을 높았으며, 체력훈련 기간은 잛을 수록 신체적 상태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에는 평소에 기초 체력을 높이고, 시합 전에는 짧은 기간에 강도 높은 훈련과 시합을 대비한 시합기술 및 전술 훈련을 실시해야 할 것이며, 또한 개인별 습득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반영 실시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유도, 체력훈련, 성취동기, 경쟁상태불안, 상태자신감

참고문헌(19)open

  1. [단행본] 고흥환 / 1994 / 운동행동의 심리학 / 보경문화사

  2. [학위논문] 김관현 / 1999 / 유도선수의 경쟁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3. [학위논문] 김동혁 / 2002 / 씨름선수의 스트레스 유발요인 및 대처방법분석

  4. [학위논문] 김민애 / 2000 / 경쟁상태불안이 수영선수들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5. [단행본] 김상철 / 2000 / 유도론 강의노트 /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6. [단행본] 박용헌 / 1982 / 成就人의 心理 : 成就動機-發展의 原動力 / 培英社

  7. [학위논문] 서종영 / 2001 / 골프경기에서 스포츠자신감과 운동수행과의 관련성

  8. [단행본] 유진 / 1997 / 스포츠 심리학 / 중앙대학교 출판부

  9. [학위논문] 윤동선 / 2008 / 농·산촌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FOSS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10. [학술지] 장덕선 / 2003 / 다이빙 대표선수의 훈련과 시합전략의 탐색 / 체육과학연구 14 (3) : 107 ~ 119

  11. [학위논문] 정구인 / 1995 / 기계체조 선수들의 기능수준과 대상별 정신력과 경쟁 불안

  12. [학술지] 홍준희 / 2001 / 성취목표성향과 능력지각이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 : 151 ~ 163

  13. [보고서] 松田岩男 / 1982 / sports選手의 心理的適性에 關한 硏究(第 1報, 第 2報

  14. [학술지] Atkinson, J. W / 1960 / Achievement motive and test anxiety conceived as motive to approach success and motive to avoid failure /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0 : 52 ~ 63

  15. [단행본] Atkinson, J / 1964 / An introduction to motivation / Van Nostrand

  16. [단행본] Carron, A, V / 1980 / Social psychology of sport. Movement Publishers. London Ontario / Movement Publications

  17. [기타] IJF / 1992 / IJF Junior Category Rosters : Explanation of how they are maintained and their purpose

  18. [단행본] Loehr, J. E / 1982 / Mental toughess training for Sport. Achieveng athletic excellence training / Stephev Greene Press

  19. [기타] Martens, R / 1990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petitive tate Anxiety Inventory - 2(SCAI- 2). In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