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완형의 황색과 녹색 그리고 박 유리구슬을 중심으로 육안 관찰과 비파괴 X-선형광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에너지분산형분광기가 부착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풍화되지 않은 유리 내부 조성을, 열이온화질량분석기로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늘인 기법(Drowing technique)에 의해 제작된 황색과 녹색 유리구슬은 안정제 조성이 CaO(산화칼슘)보다 Al2O3(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높은 소다유리이고 소다 원료는 광물 계통으로 추정된다. 또한, 황색과 녹색 유리구슬은 납동위원소비 분석에서 불투명제로 사용된 납에 대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며 시기적 차이가 있는 완주 상운리의 녹색 소다유리와 원료의 유사성이 높은 점이 확인된다. 박 유리구슬은 기포와 금속박의 연결 형태를 통해 내형 유리, 금속박, 외형 유리로 구성된 유리막대를 늘인 기법으로 만든 후에 부분적인 열처리를 통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리는 식물 재에서 소다를 얻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CaO(산화칼슘)을 첨가한 소다유리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무령왕릉의 박유리는 가시적인 금속박의 색상에 의해 금박과 은박유리로 구분되어져 왔으나, 이번 분석에서 금속박의 재질은 모두 은박으로 금박과 은박의 색상 차이는 외형 유리의 색상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가시적으로 금박유리로 추정되었던 금색 박유리는 황색의 착색제로 알려진 Fe2O3(산화철) 함량이 은색 박유리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무령왕릉 박 유리구슬은 외형 유리의 색상을 조절하여 의도적으로 금박과 은박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키워드

중심어 : 무령왕릉, 황색 유리구슬, 녹색 유리구슬, 금박유리, 은박유리, 납동위원소비

참고문헌(37)open

  1. [단행본] 문화재관리국 / 1973 / 무령왕릉 발굴조사보고서 / 문화재관리국

  2. [단행본] 국립공주박물관 / 2001 / 백제사마왕 무령왕릉 그 후 30년의 발자취 / 국립공주박물관

  3. [단행본] 국립공주박물관 / 1999 / 백제 / 국립공주박물관

  4. [단행본] 平尾良光 / 2001 / 문화재를 연구하는 과학의 눈 / 학연문화사 : 56 ~ 64

  5. [단행본] 馬淵久夫 / 1986 / 考古學のための化學10章 / 東京大學出版会

  6. [단행본] Zvi goffer / 1980 / Archaeological Chemistry / JOHNWILEY&SONS : 136 ~ 166

  7. [단행본] Roy Newton / 1989 / Conservation of Glass / Butterworths : 135 ~ 158

  8. [단행본] Lyndsie Selwyn / 2004 / Metals and Corrosion a handbook for the Conservation Professional / Canadian Conservation Institute : 131 ~ 140

  9. [보고서] 호남문화재연구원 / 2010 / 광주 선운택지개발사업구역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광주 선운동유적, 2차지도위원회 자료

  10. [보고서] 김규호 / 2010 / 김해 구산동유적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김해 구산동 유적Ⅹ : 38 ~ 92

  11. [보고서] 김규호 / 2008 / 홍성 남장리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고찰, 홍성 남장리유적, 유적조사보고 48책 : 451 ~ 466

  12. [보고서] 김규호 / 2009 / 유리제 사리공양품의 특성 분석, 왕흥사지Ⅲ : 182 ~ 243

  13. [보고서] 김규호 / 2010 / 완주 상운리 구슬류의 고고화학적 고찰, 상운리Ⅱ : 495 ~ 531

  14. [보고서] 김규호 / 2007 / 고창 남산리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창 남산리유적 : 449 ~ 474

  15. [보고서] 김규호 / 2007 / 익산 왕궁리유적 관련 유리 및 감과의 납동위체비 분석, 왕궁의 공방Ⅱ : 74 ~ 118

  16. [보고서] 김규호 / 2002 / 연천 학곡리 적석총 출토 구슬의 과학적 연구 보고서, 연천 학곡리 적석총 : 148 ~ 164

  17. [보고서] 강형태 / 2010 / 능산리사지의 서역 유리와 황남대총(남분) 유리의 비교 연구, 보존과학을통한 능산리사지 유물의 재조명 : 142 ~ 169

  18. [보고서] 김규호 / 2005 / 유리제품의 특성 분석(Ⅰ), 무령왕릉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Ⅰ) : 61 ~ 124

  19. [보고서] 김규호 / 2007 / 무령왕릉 유리제품의 특성분석(Ⅱ), 무령왕릉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Ⅲ) : 104 ~ 131

  20. [학위논문] 이인숙 / 1990 / 한국 고대 유리의 고고학적 연구

  21. [학위논문] 김규호 / 2001 /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22. [학위논문] 송유나 / 2006 / 충남지역 출토 백제시대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23. [학위논문] 김나영 / 2007 / 백자의 산지 및 특성 분류를 위한 비파괴 X선형광분석법의 활용성 연구

  24. [학위논문] 이윤희 / 2006 / 비파괴 형광X선분석을 활용한 무령왕릉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고찰

  25. [학위논문] 노지현 / 2007 / 납동위원소비 분석법을 통해서 중부큐슈와 한국 청동기 문화의 비교연구

  26. [학위논문] 박슬기 / 2006 / 삼국시대 구슬장식에 관한 연구-남한출토 유리구슬을 중심으로

  27. [학위논문] 김미령 / 2008 / 한반도 서남부지역의 옥 연구-3~5세기 분묘유적 출토 옥을 중심으로

  28. [학위논문] 김주홍 / 2007 / 고대 유리옥 제작기술 연구

  29. [학술지] 이인숙 / 1993 / 동서문화 교류의 관첨에서 본 한국의 고대 유리 / 한국학연구 5 : 443 ~ 468

  30. [학술지] 김차규 / 2009 / 로마(비잔티움) 유리용기의 신라유입 과정에 대한 해석: 5~6세기 초 비잔티움의 동방 교역정책과 관련하여 / 서양중세사연구 (24) : 1 ~ 28

  31. [학술지] 강형태 / 2008 / 고고자료의 자연과학 응용(Ⅲ) -황남대총(남분)의 일부 서역계 유리제품에 대한 과학적 특성 분류 / 문화재 41 (1) : 5 ~ 19

  32. [학술지] 강형태 / 2009 / 은평 뉴타운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 보존과학회지 25 (3) : 335 ~ 345

  33. [학술지] 강형태 / 2003 / 考古資料의 自然科學 應用(Ⅱ)-익산 미륵사지 납유리의 주조 및 유통 / 문화재 36 : 242 ~ 266

  34. [학술지] 馬淵久夫 / 1983 / 鉛同位元素比法による漢式鏡の硏究(二) / MUSEUM : 16 ~ 26

  35. [학술지] Mark Hall / 2002 / Quantitative EDXRF Studies of Obsidian Sources in Northern Hokkaido /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9 : 259 ~ 266

  36. [학술지] J Wu / 2000 / EDXRF Studies on Blue and White Chinese Jingdezhen Porcelain Samples from the Yuan, Ming, Qing Dynasties / X-ray Spectrometry : 239 ~ 244

  37. [단행본] Marshall I / 1998 / Characterization of Archaeological Valcanic Glass from Oceania In Archaeological Obsidian Studies : Method and Theory / Plenum Press : 103 ~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