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Youth's Perception of 'Youth Participation‘

시민교육연구
약어 : TRCE
2007 vol.39, no.2, pp.63 - 92
DOI : 10.35557/trce.39.2.200706.003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108 회 열람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외연이 확대되어 가고 있는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해 청소년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행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지도, 청소년 참여활동 전반에 대한 인식 그리고 자신이 직접 경험한 참여활동에 대한 평가와 관련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534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행 참여활동 목록 대부분에 대해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는 등 청소년들은 실제 참여활동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했고, 참여경험을 묻는 질문에도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 외의 참여활동에는 경험이 많지 않아 참여 경험이 특정한 활동에 편중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응답경향은 성적, 성별, 사회과의 흥미 등 청소년들의 배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성적이 높을수록, 사회과에 대한 흥미가 높을수록 그리고 여학생이 참여활동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후 만족도에 있어서도 참여 동기나 기간, 참여과정 중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청소년 참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에게 참여활동에 대한 접근 기회를 늘릴 수 있는 지지기반의 확대와 다양성 확보 노력이 더욱 요구되며 이와 함께 그 활동이 청소년들의 실제 욕구와 생활을 반영한 의미 있는 것이 될 수 있도록 활동 내용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th's perception of 'youth participa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it in Korea, in order to propose better strategies for youth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534 youth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provided concrete statements about 'youth participation' and questions about their own participation experienc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Youth didn't know well about current youth participation catalogues in Korea. Respondents only exceeded a majority on 4 of 12 youth's activities. and youth's experiences also incline to service learning activity which conducted in school and community. Second, Youth mostly were unhappy with their own experiences. Many of them think that they didn't have time enough to take an active part for satisfaction, and didn't exercise their empowerment sufficiently. But, Youth think that youth participation activity is important and need to both youth oneself and our society. and many have expressed intent participate these activiti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o activated youth participation, we have to provide more chances for an easily access. We should be prepared to appropriately programs to youth's needs and youth's problems.

청소년 참여활동,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식, 청소년 참여활동 경험
youth participation, perception of youth participation, experience of youth participation.

  • 1. [학술지] 김경준 외 / 2004 / 글로벌시대 청소년의 사회참여 실태와 지원방안
  • 2. [학술지] 김미윤 / 2004 /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 참여의 과제 (10) : 124 ~ 10
  • 3. [학술지] 김민 / 2005 / 희망세대, ‘청소년’ 이제 이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73) : 5 ~ 73
  • 4. [학술지] 김영지 / 2005 / 지역 청소년의회 구성과 운영을 위한 실무 매뉴얼
  • 5. [학술지] 김영지 / 2005 / 청소년참여의 동향과 실제 (73) : 18 ~ 73
  • 6. [학술지] 김윤수 / 2004 /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활동 활성화방안 연구
  • 7. [학술지] 김정주 / 1999 /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운동 연구
  • 8. [학술지] 김형주 / 2003 / 청소년참여와 권익증진 제도화방안 조사연구
  • 9. [학술지] 김희성 / 2004 / 청소년참여를 통한 정치사회 임파워먼트 형성에 관한 연구
  • 10. [학술지] 박성희 / 2005 / 청소년 참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11. [학술지] 이기우 / 2000 / 시민정치와 적극적 시민성 (6) : 119 ~ 6
  • 12. [학술지] 이장현 / 2002 /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방안에 대한 연구 / 6 : 31 ~
  • 13. [학술지] 임희숙 / 2005 / 학교 공동체의 참여의 시민교육 모색 / 21 (2) : 21 ~ 2
  • 14. [학술지] 전재은 / 2005 / 주5일제 시행에 따른 청소년참여활동 활성화방안에 대한 연구
  • 15. [학술지] 조선화 / 2003 / 지역사회 청소년의 주체적 참여 실태 분석 및 참여증진방안 탐색연구-서산시를 중심으로 / 10 (4) : 55 ~ 4 kci
  • 16. [학술지] 천정웅 / 1995 / 청소년과 지역사회참여 / 95 (12)
  • 17. [학술지] 천정웅 / 1997 / 청소년참여의 세계적 동향
  • 18. [학술지] 최현섭 / 2003 /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활동중심 프로그램 개발 연구 / 35 (2) : 227 ~ 2 kci
  • 19. [학술지]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 2003 / 왜, 청소년참여인가?
  • 20. [학술지] Ckeckoway B / 1995 / Youth Participation in Community Planning / 14 : 134 ~
  • 21. [학술지] Ckeckoway B / 1998 / Involving Young People in Neighborhood Development / 20 : 765 ~
  • 22. [학술지] ESCAP / 1999 / Youth Participation Manual
  • 23. [학술지] Hart R / 1992 / From Tokenism to citizenship
  • 24. [학술지] Hart R. A / 1997 / Children's Participa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volving Young Citizens in Community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are
  • 25. [학술지] Colorado / 1992 / Partners for Youth Leadersip / ement
  • 26. [학술지] The European Commission / 1997 / Learning for Active Citizenship
  • 27. [학술지] United Nations / 2004 / World Youth Report 2003: The global situation of young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