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통일교육은 통일에 관련된 교육과 통일을 위한 교육, 그리고 통일이후의 문제들에 대한 교육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통일교육의 논의에 있어서 통일교육의 내용과 함께 통일교육의 시행주체가 문제시된다. 통일교육은 일반적으로 학교통일교육, 사회통일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주체에 따라서 정부주도형의 통일교육과 시민사회단체가 시행하는 민간(사회)통일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통일교육은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기존의 반공이데올로기적 통일교육에서 새로운 통일교육의 내용으로 변화된 신패러다임 통일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역시 법적, 제도적 한계와 특히 학교통일교육이 지니고 있는 교과과정상의 내용과 교육방법의 한계로 인하여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통일교육은 단순히 통일에 관한 교육과 통일을 위한 교육을 지양하고, 남북한의 통합을 비롯한 한국내의 갈등을 극복하여 통일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통합을 통한 통일을 지향하는 통합교육으로 전환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정부와 민간이 참여하는 통일교육 네트워크의 형성을 통하여 통합교육을 통한 통일교육의 구현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키워드

통일, 통합, 통일교육, 통합교육I. 글을 시작하며통일교육의 의미와 새로운 통일교육의 필요성

참고문헌(8)open

  1. [학술지] 고정식 / 2004 /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방향

  2. [학술지] 문용린 / 1995 / 남북통일 대비 교육 준비에 관한 교육전문가 의견조사 연구보고서

  3. [학술지] 박광기 / 2005 /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구현방안원

  4. [학술지] 박광기 / 2006 / 통합적 측면에서 고찰한 남북교류협력의 활성화 방안 남북교류협력의 평가와 정책제안 16 (1) : 275 ~ 317

  5. [학술지] 윤웅상 / 2003 / 즐거운 초등학교통일교육

  6. [학술지] 제성호 / 2004 / 통일관련 법제 인프라 정비 및 개선방안

  7. [학술지] 한만길 / 2003 /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

  8. [학술지] Detjen. J / 2004 / Die wissenschaftliche Politikdidaktik ain Leitdisziplin der politischen Bild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