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NCS 체계를 반영한 SCM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ERP 시스템을 활용한 능력단위별 프로세스 적용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담당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SCM 이론과 시스템 운영 능력을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첫째, SCM 교육을 위해 NCS 능력단위를 교육 시나리오로 정의하여 이를 업무 중심의 프로세스로 구성한다. 둘째, 능력단위별로 SCM 교육 시나리오를 구성한 후, 수행준거에 근거하여 ERP 내의 각 프로그램과 매핑함으로써 시스템 중심의 NCS SCM 교육을 준비한다. 셋째, NCS 수행준거에 근거하여 NCS 교육 체계 반영 및 수행성과를 측정한다. 본 연구는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ERP 시스템을 활용하여 NCS 기반의 SCM 교육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업 현업 업무 중심의 교육을 시나리오로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교육담당자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지만, ERP 등 교육용 시스템의 뒷받침이 없을 경우, 그 효과가 반감할 수 있다. 그리고 ERP 시스템 상에서 제공되는 계량화된 지표를 통해 학습 결과를 측정할 수 있어서 교육성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ERP 시스템을 활용하여 SCM을 수행하는 많은 기업들에게 이러한 교육을 받은 학생의 업무 수행 및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교육 효과에 대해 장기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NCS, ERP, SCM, 프로세스

참고문헌(28)open

  1. [학위논문] 구자길 / 2005 / 기계산업분야의 직업능력표준과 교육훈련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2. [학술지] 구자길 / 2007 / 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교육훈련과정 설계방안 / 디지털융복합연구 5 (2) : 109 ~ 122

  3. [학술지] 김동연 / 2013 /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 (3) : 22 ~ 46

  4. [학술지] 김명희 / 2012 / 대학에서의 ERP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경영과 정보연구 31 (2) : 41 ~ 59

  5. [학술지] 박광호 / 2008 / ERP 테스트 및 교육 시나리오 프레임 웍 / Information Systems Review 10 (1) : 193 ~ 211

  6. [학술지] 박동열 / 2013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역량 교육 추진 실태와 과제 / The HRD Review : 52 ~ 71

  7. [학술지] 박두진 / 2012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항만물류분야 재직자의 교육과정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8 (2) : 61 ~ 74

  8. [기타] 박종성 / 2008 /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지침서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학술지] 박종성 / 2008 / 환경분야 국가직무체계 개발 연구 / 공학교육연구 11 (4) : 94 ~ 108

  10. [학술지] 양혜련 / 2013 /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개발기법을 활용한 S 여대 비서과의 교육과정 개발 / 한국여성교양학회지 22 (4) : 62 ~ 95

  11. [학술지] 이태식 / 2011 / 건설산업에서의 Supply Chain Management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 대한토목학회 논문집D 31 (2) : 275 ~ 284

  12. [학위논문] 장봉기 / 2012 /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기술분야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3. [학술지] 최영오 / 2013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응하는 전문대학 건축과의 산업체 맞춤형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5 (3) : 1 ~ 8

  14. [기타] 한국산업인력공단 / 2013 / 자격기본법

  15. [기타] 한국산업인력공단 / 2013 / 국가직무능력표준 자료실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실

  16. [기타] 한국산업인력공단 / 2013 /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안)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실

  17. [학술지] 한주리 / 2011 / 출판학과의 커리큘럼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의 비교 및 출판종사자의 업무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출판학연구 37 (1) : 123 ~ 155

  18. [학술지] Avraham, S. / 2001 / A framework for teaching and training in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era /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39 (3) : 567 ~ 576

  19. [학술지] Chen. K. / 2011 / Intrinsic Factors for Continued ERP Learning: A Precursor to Interdisciplinary ERP Curriculum Design / Decision sciences journal of innovative education 9 (2) : 149 ~ 176

  20. [학술지] Craig, S. / 2012 / College ERP Success: May Take Custom Fit / Computerworld 33 (48)

  21. [학술지] Moon, Y. / 2007 / Teaching Professional Skills to Engineering Students with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an International Project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3 (4) : 759 ~ 771

  22. [학술지] Neil, P. / 2004 / ERP systems and the university as a 'unique' organis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 people 17 (1) : 31 ~ 52

  23. [학술지] Pellerin, R. / 2008 / Proposing a New Framework and an Innovative Approach to Teaching Reengineering and ERP Implementation Concepts /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19 (1) : 65 ~ 74

  24. [학술지] Raymond. B. F. / 2004 / The integration of ERP into a logistics curriculum: applying a systems approach / Journal of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17 (1) : 45 ~ 55

  25. [학술지] Stewart, G. / 2001 / Industry-oriented design of ERP-related curriculum-an Australian initiative / Business process management journal 7 (3) : 234 ~ 242

  26. [학술지] Swanson, Z. / 2011 / Knowledge Management ERP Curriculum Design/Mapping (Theory and Development Tools) / Decision sciences journal of innovative education 9 (2) : 209 ~ 226

  27. [학술지] Winkelmann A. / 2010 / Teaching ERP systems: A multi-perspective view on the ERP system market /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21 (2) : 233 ~ 240

  28. [학술지] Yang, C. / 2009 /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of ERP systems implementation and its impacts on firm performance of SCM / Journal of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22 (6) : 722 ~ 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