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판화는 사회 안의 상태 변화에 입각한 시각 정보 기술 모델이다. 시각성에 대한 모델로서 판본은 “특정한 상태”의 임계점을 나타내며, 판본의 지속적인 생산은 이미지의 변화 및 궤적을 통합한다. 기술 이미지의 특성은 특정한 기술 양상을 나타내며 또 다른 시각 모델이 생성되는 모체가 된다. 판본성, 복수성, 그리고복제성에 기댄 기술 이미지는 정보성과 매체성을 파생시켰고 이와 같은 다원적인본성은 다양체에 가깝다. 20세기 후반 기술 이미지는 예술과 일상의 미적 경험,그리고 재현의 혁신을 일으켰다. “구텐베르크의 은하계의 종말”로서 상징된 인쇄술과 새로운 디지털 기술은 문화사적 관점에서 역사성의 문제를 일으켰으며, 기술의 가치를 재조명하게 하였다. 기술적 가치는 구텐베르크의 은하계의 희미한흔적으로서 그리고 야심찬 디지털 세계의 진입로가 되었고, 전통과 혁신, 낡음과새로움을 대변하는 “전통 매체”, “뉴미디어”, “인간적인 것”, “기계적인 것“의 분수령이 되었다. 밀레니엄 이후,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실험과 진보의 아방가르드로 재편되었으며 ’확장‘으로서 “과거의 새로움”, “재구성”, 그리고 “인용주의”라는 영감과 실천의 형태를 포용했다. 판화는 자취와 흔적으로서의 인쇄 문화와역사를 지시하고 프린트는 시각적 상상을 실현시키는 그래픽의 세계의 비전을 대리하는 것으로 지시되었다. 근대에 발달한 기술 이미지로서 판화는 전통적인 예술 개념과 범주에서 그리고과학적인 기술 매체의 차원에 있다. 물리적 기술은 가치 면에서 논의의 대상이되었지만 근대에서 현대로 이행하는 동안 판화의 본성과 정체는 기술의 변모에영향을 받았다. 새로운 기술은 사회적 조건을 토대로 기능적으로 변모했으며 판화의 본성과 정체를 둘러싼 다중적인 코드에 영향을 주었다. 크게 예술의 위치를옹호하는 것과 기술 매체의 기원에 입각한 분류는 판화의 가치에 영향을 주었다. 포괄적으로 판화의 정체는 단일체 보다는 물질, 기술, 그리고 기능의 융합된 다양체에 가깝다. 벤야민에 의해서 언급된 매체성과 맥루한이 말한 ‘메세지성’은 정보기술 환경에 대한 일종의 환원적 해석이며 이러한 논의들은 판화의 역사성과 혁신성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통로가 되었지만, 정작 판화의 기술과 기능의 특수한 의미는 조명되지 못했다. 그러한 이유는 기술적 의미가 물질 생산에서 정보생성으로 이행되었던 판화에 대한 접근이 단순한 인과성이나 예술 본질주의에 맞추어 규명되었기 때문이다. 판화 발전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근대에 판화의 기능은 시각 정보와 관련이깊다. 디디 위베르만(DiDi-Huberman)에 따르면, 판화 생산의 가치와 의미는 지정보 기술 이미지의 기원과 새로운 모델 77식학의 패러다임에 준하는 “프린트 패러다임”으로서 다양한 판본과 기술은 “근대사회의 물질 정보와 지식 생산의 기술 모델”을 뜻한다. 판화 기술에 의해 제작된판본은 물질의 생산과 소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자 통계적 가치를 지닐 뿐 아니라, 정보적 시각성을 의미할 뿐 아니라, 기존의 판본과 새로운 판본은 “현실화의 경우에서 있어 모델이 복사본에 대해 갖는 관계 즉 다소간의 유사성을 함축한관계”이다. 다양체로서 판화는 물질(질료)을 외부적인 형식(형상)을 위한 수용적인용기로 간주하는 것과는 다르며, 외부적인 개입 없이 패턴을 낳는 그 자체의 자연발생적인 능력이 잠재되어 있다. 판본성은 어떤 과정에서 시각성의 경향들을정의하는 특이성의 분포로서 현대적 의미에서 버전(version)을 말한다. 복제성은상호적으로 포함되는 여러 분포들을 또 다른 판본으로 생산하는 방법이다. 판본의 증식과 유포는 임계점을 가지는데 여기서 물질의 상태 변화를 뜻하는 임계점(critical point)은 정보 가치의 변동적 상태 변화를 의미한다. 판화의 기술과 기능의 지속적인 변주에 대해서 콜드웰(Coldwell)은 “역사적으로판화는 기존의 제도와 관습 바깥에 있는 시각 형식을 주요한 흐름 안으로 도입하고, 실험 기능을 지속시키는 능력”이라고 말하는데, 이점은 기술 환경에 의해서변화되는 수용적 시각성과 실험하는 능동적 시각성과 연결된다. 판화의 판본성-복제성-복수성은 현대 예술가들에 의해서 획일화 된 시각성에 대항하고, 문화적소유권에 대한 공유를 주장하며, 생생한 삶의 이미지를 보는 상대적인 경험 방법이다. 특히 현대 판화의 새로운 모델로서 등장한 ‘프린트 인스톨레이션’은 ‘건축적 프로젝트’에 접근하는데, 건축 공간으로 상징된 그래픽 세계는 매체적 공간의의미로 그래픽 스케일로서 위상화 되거나 유형화 된다. 시스템화 된 의식적 차원,개인과 사회의 관계 그리고 새로운 공간 가치를 비평하는 의미에서 건축, 축조그리고 구성의 의미는 유형화 된 다른 문화와 체계를 가진 세계의 분할과 통합을함축하고, 설치 형식은 임계적인 정보 환경과 인간에게 필요한 생물학적 그리고사회학적 조건을 암시한다. 따라서 ‘프린트 인스톨레이션’은 기술 이미지로서 출발했던 시각 정보의 역사에 대한 메타 비평(meta criticism)의 기능과 ‘사회적 거울’로서 판화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고, 감각 정보에 기초한 미적 조건과 정보생태학의 관점에 정합한 환경 모델을 제시한다.

키워드

정보 기술 이미지, 다양체, 실험 정신, 판화 설치, 프린트 인스톨레이션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발터 벤야민 / 2010 /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 도서출판 길

  2. [단행본] M.칼리니스쿠 / 1998 /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 시각과 언어

  3. [단행본] Cynthia Freeland / 2001 / But is it art? / 아트북스

  4. [학술지] 이지현 / 2014 / 물성으로서의 한국현대판화 연구 / 예술과 미디어 13 (2) : 9 ~ 32

  5. [단행본] D.Lovekin / 1991 / Technique, Discourse and Consciousness / Associated Uuniverity Press, Inc

  6. [단행본] 에르빈 파노프스키(E / 2002 / [단행본] 도상해석학 연구 : 르네상스 미술에서의 인문주의적 주제들 / 시공사

  7. [단행본] F.Dyson / 1995 / The scientist as rebel in Nature’s Imagination: The Frontiers of Scientific Vision / Oxford University Press

  8. [단행본] G.Didi-Huberman / 2005 / Confronting Images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9. [단행본] H.Wölfflin / 1971 / The Art of Albrecht Dürer / Phaidon

  10. [단행본] J.Lyotard / 1984 / he Postmodernism Condtion: A Report on Knowledge, trans, In Geoff Bennigton and Brian Massumi / University of Minnersota Press

  11. [단행본] J.Crary / 2001 / Suspensions of Perception: attention, spectacle, and Modern Culture / MIT Press

  12. [단행본] J.Crary / 1992 / Techniques of the Observer: on vision and modernity in nineteenth century / MIT Press

  13. [단행본] Luigi Ficacci / 2006 / Introduction: The Discovery of Rome out of the Spirit of Piranesi, In Piranesi, The Etching / Taschen

  14. [단행본] Linda C. Hults / 1996 / The Print in the Western World: An Introductory History /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5. [단행본] Pual Coldwell / 2010 / Printmaking : A Contemporary Perspective / black dog publishing

  16. [단행본] W.Ivins / 1987 / How prints look: Photographs with Commentary / Beacon Press : 1 ~ 4

  17. [단행본] W.Ivins / 1980 / Prints and Visual Communication / The MIT Univ Press

  18. [단행본] W,Deborah / 2004 / Artists and Prints: Masterworks from the Museum of Modern Art / MoMA

  19. [단행본] W.Chamberlain / 1972 / The Thames and Hudson Manual of Etching and Engraving / Thames & Hudson

  20. [단행본] S.Tallman / 1996 / The Contemporary Print from pre-pop to post modern / Thames and Hud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