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현대판화의 개념과 표현 확장

The Concept of Contemporary Printmaking and Extension of Expression

예술과 미디어
약어 : CAMMP
2015 vol.14, no.2, pp.75 - 94
DOI : 10.36726/cammp.2015.14.2.75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연구분야 : 예술일반
Copyright © 예술과미디어학회
82 회 열람

우리사회는 물질 만능주의적 자본주의의 경제 이데올로기와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기존의 작품 이미지가 대량으로 복제되어 대중매체를 통해 확산되고, 작품이 가지는 고유성이 일상적 의미로 전이되는 아이러니한 시각적 융합과 대중적 소통이라는 뉴미디어(New Media)의 시대에 들어섰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다양한 매체(사진 및 영상, 인터렉티브 설치, 인터넷, 스마트폰, 3D디지털기기)들의 활용을 통해 현실을 투영하는 예술가들이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탈근대주의 개념인 주체의 상실로 인한 예술의 종말론과 더불어 창조자의 죽음, 대중의 탄생이라는 보다 일상화된 미시서사적 해석방법이 제시되고있는데 이는 곧 예술은 일상과 격리된 별개의 것이 아닌 그 시대의 창의적 방식에 따라 무한하게 재창조되어 나타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특히 판화라는 장르는 그 특성 및 표현방식이 다른 예술분야보다도 더욱 현재그리고 나아가 미래지향적인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대량생산 및 복제가 가지는 복수성, 기법의 상충과 간접적인 매체적 변형의 접목을 통한 우연성, 정보의확장 그리고 전달 기능을 통한 대중과의 소통체계 또한 판화 예술만의 독특한 복합적 양식이며, 이러한 점이 다른 미술 분야보다 판화가 가지는 미래적 가능성과진보성의 가치가 더욱 특별함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장르를 하나의 흔적과 지표로 묶어 또 다른 실험적 장르로 재탄생하게 하는 판화미술의 현대성은 판화가 표현이라는 피상적 가치를 초월해 현대미술의 중심에 있으며, 복제와 첨단으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Post Modern) 시대를 거쳐 미래지향적인 또 다른 순수한 열정의 근원으로서 다시 연구되고 조명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Due to economic ideology of materialism and capitalism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skills, our society has entered the New Media era, which features the mass communication and ironic visional fusion of the fact that the originality of art works turns ordinary.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 artists who reflect the reality through various media(the photograph, visual media, interactive installation, internet, smartphones, 3D digital devices) attract attention. In addition, more routine micro-descriptive interpretation approach of art, including the end of art and the creator and the birth of the public is presented, all of which represents that art is not separated from the day life but recreated numerously on the basis of creative process in tunes with times. Especially, the genre of printmaking has more to do with the contemporary and the future life than any other art field. Printmaking has the characteristics of duplication, or mass production and copy, the contingency stemming from combining printmaking techniques with indirect medium transformation, extensi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ese features prove the potential future value and the specialty the printmaking has. Likewise, the modernity of printmaking as the rebirth of an experimental genre suggests that printmaking, beyond the superficial value of expressive means, has the central role in the contemporary art and it needs shedding light on and researching as another future passionate source.

현대판화, 확장된 개념, 매체, 대중매체, 융합
Contemporary Printmaking, Extensive Concept, Medium, Mass Media, Fusion

  • 1. [단행본] 김영호 / 2008 / 복제시대의 판화미학-에디션 / 현대판화가협회 카탈로그
  • 2. [단행본] 심혜련 / 2006 /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 살림
  • 3. [단행본] 임대근 / 2006 / 한국현대판화 / 한국현대판화가협회
  • 4. [단행본] 존 A 워커 / 1987 / 대중매체 시대의 예술 / 열화당
  • 5. [단행본] 질 들뢰즈 / 2005 / 차이와 반복 / 민음사
  • 6. [단행본] Marshall McLuhan / 1997 / 미디어의 이해 / 커뮤니케이션북스
  • 7. [단행본] Marshall McLuhan / 2001 / 미디어는 마사지다 / 뮤니케이션북스
  • 8. [단행본] Walter Benjamin / 2010 /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 길
  • 9. [단행본] Walter Benjamin / 1983 /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민음사
  • 10. [단행본] Wolfgang Welsch / 2005 / 미학의 경계를 넘어서 / 향연
  • 11. [단행본] Pual Coldwell / 2010 / Printmak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 Black Dog Publishing
  • 12. [단행본] Roni Feinstein / Robert Rauschenberg, The Silkscreen Prints, 1962-1964
  • 13. [단행본] S. Tallman / 1996 / The Contemporary Print from Pre-PoP to Post Modern / Thames and Hudson
  • 14. [단행본] Walter Benjamin / 1968 / Illumination / Schocken Boo
  • 15. [단행본] W. Deborah / 2004 / Artists and Prints: Masterworks from the Museum of Modern Art / MoMa
  • 16. [단행본] W. Ivins / 1980 / Prints and Visual Communication / The MIT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