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다양한 경력구성 사례를 통한 새로운 일의 교육적 의미탐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areer Construction in the New World of Work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of Work

직업능력개발연구
약어 : -
2014 vol.17, no.2, pp.119 - 151
DOI : 10.36907/krivet.2014.17.2.119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67 회 열람

이 연구는 다양한 범주의 경력전환 사례를 통해 새로운 일의 교육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질적 사례 연구의 접근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경력적 측면, 사회적 측면, 심리적 측면, 일의 교육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주어진 맥락과 자신의 요구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협상하며,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경력을 재구성해가고 있었다. 특히 현대 우리사회에서나타나는 특수한 양상으로 기존 경력관과 새로운 경력관의 과도기적 공존, 그리고고용불안 및 사회문화적 구조와 자기 주도적 경력태도 사이에서 진동하는 개인의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자유로운 자기표현 및 능동적 변화를 통해 창의적으로 맞춤형 진로를 구성해가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진로교육의 문제를 논의하고 새로운 일의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areer transition in thenew world of work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plore these questions, in-depth interviews withthirteen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career transition in diverse aspects,during four-month period,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categorized in followingfour domains: career, sociological,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aspect of work. Also, eleven sub-themes are derived. For example, there is a co-existence betweenpast career objective and new career objective, and individuals oscillate betweensocial structure of unstable employment and their career attitude of self-leading. Also,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constantly pursue their career throughconstructing creative, various careers, expressing themselves freely and striving forchange. In this research, we addressed problems of previous career education andprovided new direction for education of work based on these findings.

경력 전환, 다중 경력, 일의 교육, 평생교육, 진로교육
Career Transition, Multiple Careers, Education of Work, Vocation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 1. [단행본] 강홍렬 / 2006 / 메가트렌드 / 한길사
  • 2. [단행본] 김문조 / 2006 / 커리어의 복잡화 / 메가트렌드, 한길사
  • 3. [학술지] 김성국 / 1999 / 경력(Carrer)개념의 변화와 미래 방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 Ewha Management Review / 17 (1) : 5 ~ 1
  • 4. [학술지] 김시진 / 2010 / 프로틴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 대한경영학회지 / 23 (4) : 1899 ~ 4 kci
  • 5. [학술지] 김연정 / 2013 / 기업 중견비서의 이직경험을 통한 전환학습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HRD연구 / 15 (1) : 159 ~ 1 kci
  • 6. [학술지] 김은상 / 2002 /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의 관계유형이 이직의도 , 수행노력 ,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15 (1) : 41 ~ 1 kci
  • 7. [학술지] 김흥국 / 2000 / 경력개발 이론의 평가와 연구방향 / 인적자원개발연구 / 2 (2) : 1 ~ 2 kci
  • 8. [학술지] 김흥국 / 2003 / 경력상담 시스템의 설계방안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27 (1) : 299 ~ 1 kci
  • 9. [단행본] 남춘호 / 2005 / 지식정보사회의 경력과 생애과정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10. [학술지] 박광진 / 2011 / 프로 경륜선수의 직업 전환 인과모형 분석 /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22 (2) : 35 ~ 2 kci
  • 11. [학술지] 박홍희 / 2009 / 교사의 생애발달 주기를 고려한 교사평가 연구 / 교육연구논총 / 30 (2) : 1 ~ 2
  • 12. [학술지] 박희동 / 2012 /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영과 정보연구 / 31 (3) : 97 ~ 3 kci
  • 13. [보고서] 손유미 / 2010 /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 창출과 지원
  • 14. [학위논문] 양안나 / 2010 /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직업전환과정 연구
  • 15. [학술지] 오인수 / 2004 / 조직내/외 경력이동의 개념화와 그 선행변인의 규명 및 측정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17 (2) : 279 ~ 2 kci
  • 16. [학술지] 오창환 / 2012 /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지향성 유형 및 관련 변인 / 기업교육연구 / 14 (1) : 133 ~ 1 kci
  • 17. [학술지] 이기학 / 2001 / 전공모집유형과 진로결정 일관성 여부에 따른 진로미결정 대응 능력수준에 대한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상담및심리치료 / 13 (3) : 187 ~ 3
  • 18. [학술지] 이수연 / 2012 / 대기업 정규직 여성 비서직무 경험자들의 경력전환에 관한 질적 연구 / 비서학논총 / 21 (3) : 29 ~ 3 kci
  • 19. [학위논문] 이용재 / 2011 / 전직지원서비스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제대군인의 학습몰입 및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 [학술지] 이진규 / 1998 / 미래조직의 경력관리: 다중경력 패러다임 / 인사조직연구 / 5 (3) : 167 ~ 3
  • 21. [학술지] 탁진국 / 2002 / 경력몰입의 선행변인:고용형태와 직무형태에 따른 차이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15 (2) : 67 ~ 2 kci
  • 22. [학위논문] 임안나 / 2007 / 공공부문의 전직지원서비스 효과성에 관한 연구
  • 23. [단행본] 장원섭 / 2011 / 인적자원개발 : 이론과 실천 / 학지사
  • 24. [학술지] 장은미 / 1995 / 경력관련 변수와 조직몰입 분석 : 경력 단계와 경력 경로와의 관계 / 경영학연구 / 26 (2) : 271 ~ 2
  • 25. [학술지] 진성미 / 2009 / 경력 역량 탐색을 위한 평생학습의 시사 / 평생학습사회 / 5 (2) : 21 ~ 2 kci
  • 26. [학술지] 탁진국 / 2004 / 종업원의 경력 개발을 위한 경력 지향의 의미와 시사점 / HRPROFESSIONAL / 8 : 54 ~
  • 27. [보고서] 한상근 / 2009 / 창의적 커리어 패스 형성에 관한 기초 연구
  • 28. [학술지] 황애영 / 2011 /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protean) 경력지향을 매개변인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24 (2) : 409 ~ 2 kci
  • 29. [학술지] Adler, P. S. / 2008 / Professional Work: The Emergence of Collaborative Community / Organization Science / 19 (2) : 359 ~ 2
  • 30. [학술지] Arthur, M. B. / 1994 /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perspective for organizational inquiry /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 15 : 295 ~
  • 31. [단행본] Arthur, M. B. / 1989 / Handbook of career theor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32. [학술지] Baruch, Y. / 2006 / Career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and beyond: Balancing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viewpoints /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 16 : 125 ~
  • 33. [학술지] Boud, D. / 2012 / Re-thinking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hanging metaphors and location in professional practices / Studies in Continuing Education / 34 (1) : 17 ~ 1
  • 34. [학술지] Briscoe, J. P. / 2006 / The interplay of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s: Combinations and implications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69 (1) : 4 ~ 1
  • 35. [단행본] Ekstedt, E. / 2009 / Building Anticipation of Restructuring of Europe / Peter Lang
  • 36. [단행본] Englisch, G. / 2002 / 잡노마드 사회: 직업의 유랑자들 / 문예출판사
  • 37. [학술지] Engestrom, Y. / 2010 / Studies of expansive learning: Foundations, findings and future challenges / Educational Research Review / 5 (2) : 1 ~ 2
  • 38. [학술지] Fenwick, T / 2012 / Understanding transitions in professional practice and learning /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 25 (6) : 352 ~ 6
  • 39. [학술지] Fyfe, N. R / 2013 / Complex transition and uncertain trajectories /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 25 (6) : 407 ~ 6
  • 40. [단행본] Greenhaus, J. H. / 1987 / Career Management / The Dryden Press
  • 41. [단행본] Hall, D. T. / 1976 / Careers in organizations / Scott, Foresman
  • 42. [학술지] Hall, D. T. / 1996 /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 10 (4) : 8 ~ 4
  • 43. [학술지] Hall, D. T. / 2004 / The protean career: A quartercentury journey / 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65 (1) : 1 ~ 1
  • 44. [학술지] Kilminster, S. / 2012 / Critical perspectives on professional lifelong learning / Studies in Continuing Education / 34 (1) : 1 ~ 1
  • 45. [학술지] Louis, M. R / 1980 / Career Transitions: Varieties and Commonalities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5 (3) : 329 ~ 3
  • 46. [단행본] Miles, M. B. / 1994 / Qualitative Data Analysis / Sage Publications
  • 47. [학술지] Nazar, G. / 2013 / Possible selves and identity in relation to career development: evidence from Chilean male middle-aged managers’ career narratives /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 25 (1) : 1360 ~ 1
  • 48. [단행본] Pink, D. H. / 2002 / Free Agent Nation / Warner Books
  • 49. [학술지] Stoltz, K. B. / 2013 / Application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in Career Counseling: Facilitating Career Transition /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 40 (4) : 329 ~ 4
  • 50. [학술지] Sullivan, S. E. / 2006 / The evolution of the boundaryless career concept: Examin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mobility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69 (1) : 19 ~ 1
  • 51. [학술지] Toiviainen, H. / 2012 / Emergent learning practices in globalizing work /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 24 (7) : 509 ~ 7
  • 52. [단행본] Young, R.A. / 2000 / The future of career /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