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ysical Analysis of High Strength Concrete According to Mixing Methods of Binders for Application Analysis of Pre-Mix Cement

프리믹스 시멘트의 활용성 분석을 위한 결합재의 혼합방법에 따른 고장도 콘크리트의 물성 분석

  • Published : 2009.10.20

Abstrac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strength of binders in order to enhance the strength of concrete. However, when the mineral admixture used for high strength concrete is incorporated individually, its dispersibility decreases due to the phenomenon of compaction, which reduces its fluidity and results in insufficient strength being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we can pre-mix each binder in advance to disperse a mineral admixture among binders, which will strengthen the fluidity and strength of concret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depending on the mix method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e-mix cements ranging from W/B 15 to 35%. It was found that the fluidity of pre-mix increased to a level higher than that of individual mix due to its dispersion and ball bearing effect. The air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from the result of individual mix due to the micro filler effect, which causes fine particles of silica-fume to fill the voids among cement particles, while the setting time of pre-mix was shorter than that of individual mix, because enhanced dispersion of pre-mix affects hydration heat tim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re-mix increased due to the phenomenon of compaction of gap structure, and the variation of coefficient decreased by 1.69% on average in strength variation.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고강도화 하기 위해서는 결합재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고강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광물질 혼화재들이 가진 고결현상으로 인해 개별투입 혼합 시에는 분산성이 크게 저하되어 유동성을 저감시키고,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결합재를 사전에 프리믹스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게 되면 광물질 혼화재가 충분히 결합재 중에 분산되어 콘크리트의 유동성 향상 및 강도증진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B $15{\sim}35%$ 범위내에서 프리믹스 시멘트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결합재의 혼합방법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물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동성은 프리믹스의 균일분산 및 볼 베어링 효과로 인해 개별혼합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공기량은 프리믹스의 시멘트 입자간 공극을 실리카퓸의 미세한 입자가 충전하는 마이크로 필러 효과로 인해 개별혼합 보다 약간 감소하였으며, 응결시간은 프리믹스의 균질한 분산이 수화발열속도에 영향을 주어 개별혼합보다 단축되었다. 압축강도는 프리믹스의 공극구조 치밀화로 인하여 증가하였으며, 강도편차 또한 평균적으로 약 1.69 % 정도 변동계수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훈, 이주선, 노상균, 이해일, 황인성, 한천구, 결합재 조합 및 믹싱시간 변화에 따른 프리믹스 시멘트를 사용한 고성능시멘트 모르터의 기초적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pp.459-462, 2008.10
  2. 김기훈, 황인성, 김성수, 최성용, 한민철, 한천구, 초고강도용 시멘트결합재의 물성에 미치는 실리카퓸 종류의 영향, 한국건축시공학회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제1호, pp.51-54, 2007.4
  3. 김성일, 배장춘, 김기훈, 황인성, 김성수, 한천구, 고강도 콘크리트용 프리믹스 시멘트의 분체조합 변화에 따른 페이스트의 유동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9권 제2호, pp.657-660, 2007.11
  4. 김성일, 장기현, 이충섭, 한동엽, 김기훈, 한천구, 프리믹스 시멘트를 사용한 모르터의 기초적 특성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 춘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8권 제1호, pp.93-97, 2008.5
  5. 김형태, 실리카퓸 및 실리카퓸 콘크리트의 특성과 이용, 한국콘크리트학회 학회지, 제3권 제3호, pp.23-30, 1991.9
  6. 문한영, 김진철, 실리카퓸 혼합 고강도 콘크리트의 기초물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3권 제2호, pp.21-25, 1991.11
  7. 배준영, 김종백, 조성현, 노현승, 김정환, 박승범, 프리믹스 혼합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품질편차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20권 제2호, pp.569-572, 2008.10
  8. 변근주, 남진원, Silica Fume Concrete, 기문당, 2006
  9. 한국콘크리트학회, 최신콘크리트공학, 기문당, 2005.2
  10. 황인성, 김성일, 최성용, 이해일, 김성수, 한천구, 실리카퓸 종류변화에 따른 프리믹스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특성,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 pp.535-538, 2007.10
  11. 鎌田英治, 洪悅郞, 田畑雅幸, 浜幸雄, ロジステイック曲線を應用したコンクリ-ト强度推定法の提案, 日本建築學會論文報告集,No.367, pp.1-10. 19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