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ental Health, Self-efficacy, and Happiness on Suicidal Ideation

일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행복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이경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이경희 (울산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7.02.08
  • Accepted : 2017.03.21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mental health, self efficacy, happiness,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factors. Data collection from May 1, 2015 August 31 were enrolled in U-city.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467 citizen in cities of Ulsan. Mental heal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 efficacy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Self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lso, happi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of elementary studen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was marietal status, preferred mental health, and happines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43.3% of the variance for suicidal idea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was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일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행복감, 자살생각의 정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행복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U광역시 9개동 주민 467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5월 1일부터 2015년 8월 31일까지였다.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평균 $89.25{\pm}19.94$점이었고, 자기효능감은 $73.11{\pm}11.54$, 행복감은 $49.48{\pm}13.29$, 자살생각은 $29.07{\pm}10.51$로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자기효능감은 부적 상관관계, 정신건강과 자살사고는 정적 상관관계, 자기효능감과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 자기효능감과 자살사고는 부적상관관계, 행복감과 자살사고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지역주민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주된 영향요인은 정신건강, 행복감, 결혼 상태였으며 43.3%의 설명력이 있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자살생각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OECD, OECD Health Data, 2014.
  2. http://www.suicideprevention.or.kr
  3. 황은희, 박민희, "20세 이상 성인의 수면시간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420-42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420
  4. K. Suominen, E. Isometsa, J. Suokas, J. Haukka, K. Achte, and J. Lonnquist, "Completed suicide after suicideattempt: A 37-year follow-up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1, pp.562-573, 2004. https://doi.org/10.1176/appi.ajp.161.3.562
  5. W. Kuo, J. J. Gallo, and A. Y. Tien, "Incidence of suicide ideation and attempts in adults: The 13-year follow-up of a community sample in Baltimore," Maryland Psychological Medicine, Vol.31, pp.1181-1191, 2001.
  6. G. A. Carlson and D. P. Gantwell, "suicidal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Vol.21, pp.361-368, 1982. https://doi.org/10.1016/S0002-7138(09)60939-0
  7. 장우심, "영동군 고령자들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720-72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720
  8. J. Sareen, B. J. Cox, and T. O. Affi, "Anxiety disorders and risk of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of adult," Ach Gen Psychiatry, Vol.62, pp.1249-1257, 2005. https://doi.org/10.1001/archpsyc.62.11.1249
  9. 장미희, 김윤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33-42, 2005.
  10. J. I. Lee, M. B. Lee, S. C. Liao, C. M. Chang, S. C. Sung, and H. C. S. Chiang,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Vol.109, pp.138-147, 2010. https://doi.org/10.1016/S0929-6646(10)60034-4
  11. J. T. Cavanash, A. J. Carson, M. Sharpe, and S. M. Lawrie,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of suicide: A systemic review," Psychological Medicine, Vol.33, pp.395-405, 2003. https://doi.org/10.1017/S0033291702006943
  12. K. B. Roth, G. Borges, M. E. Medina-Mora, R. Orozco, C. Oueda, and H. C. Wilcox, "Depressed mood and antisocial problems as correlated behaviors in Mexico,"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45, pp.596-602, 2003.
  13. 박은옥, 최수정, "한국성인의 자살생각률과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p.88-96, 2013.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2.88
  14. 전현규, 심재문, 이건창, "국내 성인에 있어서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2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264-28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64
  15. Y. R. Chin, H. Y. Lee, and E. S. So,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by sex in Korean adults: A population based cross-sectional survey," Intera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Vol.56, pp.429-439, 2011. https://doi.org/10.1007/s00038-011-0245-9
  16. Bandura, Self 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York: W.H. Freeman and company, 1997.
  17. 정혜경, 안옥희, 김경희,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청소년학 연구, 제10권, 제2호, pp.197-206, 2003.
  18.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19. 박재연,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주관적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42권, 제1호, pp.201-224, 2014.
  20. 김선영, 정미영, 김경나, "한국성인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14, 2014.
  21. 최정민, 김신열, "노인이 인지한 소득불평등과 자살생각간 관계-경제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733-758, 2014.
  22. L. R. Derogatis, K. Rickels, and A. F. Rock, "The SCL-90-R and the MMPI: A step in the validation of a new self-report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No.128, pp.280-289, 1976.
  23. 윤향숙, 황윤미, 김덕범, 장성화,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 제10권, pp.1-25, 2011.
  24.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 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pp.51-64, 1996.
  25.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학, 제11권, 제2호, pp.1-19, 1997.
  26. A. Campbell, P. Converse, and W. L. Rogers, The Quality of Americanlife,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1976.
  27. 한정원, 자기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8. A. T. Beck, M. Kovacs, and A. Weissman,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7, pp.343-352, 1979. https://doi.org/10.1037/0022-006X.47.2.343
  29. 신민섭, 자살기재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기도피척도의 타당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93.
  30. 김판희, 김희숙, "일 도시지역 주민의 스트레스 지각, 정신건강 및 사회적지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97-210, 2010.
  31. 이정섭, "일 농춘지역주민들의 정신건강과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20-228, 2001.
  32. 홍혜수, 성인의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요인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2014년도 국민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3. 이신숙, "일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552-572, 2017.
  34. 최말옥, "남성과 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비교: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2호, pp.19-40, 2011.
  35. 윤우석, "실업과 소득격차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 검증: 1995년에서 2008년까지의 시계열 자료 분석," 한국 공안행정학회보, 제42권, pp.153-185, 2011.
  36. J. W. Kwon, H. Chun, and S. I. Cho, "A closer look at the increase in suicide rates in South Korea from 1986-2005," BMC Public Health, Vol.9, No.1, p.72, 2009. https://doi.org/10.1186/1471-2458-9-72
  37. I. M. Hunt, N. Cuper, J. Robinson, J. Shaw, S. Flynn, H. Bailey, J. Meehan, H. Bickley, R. Parsons, J. Burns, T. Amos, and L. Appleby, "Suicide within 12 months of mental health service contact in different age and diagnostic groups: National clinical surve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88, No.2, pp.135-142, 2006. https://doi.org/10.1192/bjp.188.2.135
  38. Z. Rihmer, "Suicide risk in mood disorder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Vol.20, No.1, pp.17-22, 2007. https://doi.org/10.1097/YCO.0b013e3280106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