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mercialization and Changes of Urban Fabric and Architecture at Hwayang-dong Residential Area in Seoul

서울 화양동 주거지역의 도시조직과 상업화에 따른 건축물의 변화

  • 이지연 ((주)솔리데오시스템즈) ;
  • 김성홍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Published : 2013.01.25

Abstract

The paper examines the urban fabric and architecture of Hwayang-dong in Seoul, a typical residential area developed by Land Readjustment (LR) Project in the late 1960s. LR was the major urban land development tool to make the residential areas outside the city center of Seoul from the 1960s to the 1980s. About 40% of Seoul's urbanized areas were formed by LR. The paper analyzed the changes in streets, blocks, plots, and buildings at Hwayang-dong from the 1960s to the 2000s. The studied area was filled with one-story single-family detached houses as initially planned by LR from 1967 to 1977. During 1978 and 1987 the existing houses were partially modified and vertically expanded. Between 1988 and 1997 most houses were demolished and medium-scale multi-family houses or mixed use buildings were built under the pressure of commercialization. The period between 1998 and 2007 was the last phase that the area was transformed into the commercialized area with the implementation of District Unit Plan 2000. The paper classified 75 buildings at the studied area into six types; Vertical Addition of Single Family House (R-1), Vertical Addition and Transformed into Commercial Use (RC-1), Rebuilt as Single Family House and Transformed into Commercial Use (RC-2), Rebuilt as Multi-Family House (M-1), Rebuilt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RC-3), Rebuilt as Commercial Building (C-1). Through these phases over the 40 years the Hwayang-dong area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residential area into commercialized area.

Keywords

References

  1. "개축 및 보수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2.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3. "서울 600년사", 제1-6권, 서울특별시, 1996.
  4. "서울 도시와 건축", 서울특별시, 2000.
  5. "서울건축사", 서울특별시, 1999.
  6. "서울도시계획연혁지", 서울특별시, 1991.
  7. "서울지하철 2호선건설지", "서울지하철 7호선건설지",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 1996, 2002.
  8. "서울토지구획정리백서", 서울시사편찬위원회, 1990.
  9. "지구단위계획의 이해와 활용", 한국도시설계학회, 2000.
  10. "주택도시40년", 대한주택공사, 2002.
  11. "주택백서", 건설교통부, 2002
  12. "토지구획정리사업연혁지", 서울특별시, 1984.
  13. 김성홍, "서울 강남 주거지역의 상업화와 건축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권 3호 통권281호, 127-136, 2012.
  14. 김성홍, "길모퉁이 건축, 건설한국을 넘어서는 희망의 중간건축", 현암사, 2011.
  15. 김성홍, "도시 건축의 새로운 상상력", 현암사, 2009.
  16.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2007.
  17. 박기범, "건축기준에 따른 다가구 주택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3-15. 2000.
  18. 박기범, "주택관련법제에 따른 주거지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9. 박기범 외, "강남 단독주택지역 변화의 법제적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1권 제7호 통권201호, 73-82, 2005.
  20. 서정화, 이명훈, 전병혜 , "대학가 역세권의 보행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3권 제2호 통권162호, 35-45, 2008.
  21. 성은진, "환승역 주변의 소비공간 모습",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2. 손세관, 신진희, "서울 주거지역내 주거블록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9권 제4호 통권174호, 83-90, 2003.
  23. 손정목, "서울 도시 계획 이야기", 제1-5권, 2003.
  24. 오덕성, 문홍길 "도시설계", 기문당, 2000.
  25. 이서경, 우신구, "상업화에 따른 단독주택지역 가로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2권 제10호 통권216호, 253-262, 2006.
  26. 이지연, "서울 화양동 주거지의 도시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2009.
  27. 임창복, 서기영, "도시주거지내 주거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6권 제11호 통권145호, 121-128, 2000.
  28. 장미현, "서울 주거지의 조성시기별 도시구조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9. 조성심, "소규모 복합용도 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강남지역의 격자형 도시조직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0. 홍재홍, "간선도로변 상업지역 배후 주거블록의 상업화 특성",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5.
  31. Ewin, Reid, Land Readjustment - Learning from International Research, reprint from Planning,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008.
  32. Muller-Jokel, Rainer, German Land Readjustment -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Land Management, http://www.fig.net/pub/proceedings/korea/full-papers/pdf/session20/mullerjokel.pdf
  33. Muller-Jokel, Rainer, Land Readjustment - A Win-Win-Strategy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IG Working Week 2004, Athens, Greece, May 22-27, 2004
  34. Sorensen, Andre, Conflict, consensus or consent: implications of Japanese land readjustment practice for developing countries, Habitat International 24 (2000), 51-73, 2000. https://doi.org/10.1016/S0197-3975(99)000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