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erface between DAS and SCADA by using Direct Method

직접연계방법에 의한 DAS-SCADA 연계 연구

  • 박소영 (한국전력공사전력연구원) ;
  • 신창훈 (한국전력공사전력연구원)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DAS and SCADA system are main systems, which operate and manage the power system by using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DAS and SCADA have been operated independently in Korea, so there was some time delay in the fault handling and live-line work. To improve that problems, studies on the interface between DAS and SCADA have been needed. From November 2005 to December 2007, the pilot project has been performed in KEPCO's branch offices, as a result, direct method will be applied widely all over the country until 2010 becaus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substation users want can be transmitted fast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43RC directly although the expense for direct method is about 1.3 times larger than that for web method. To improve problems revealed during the pilot project, substation object to object communication method is proposed and interface database automatic generation and interface system diagnosis and logging functions are developed. Interface data point and communication data type are defined, substation single line diagram automatic generation or manual editing function, SCADA monitoring and controlling function, log data managing function are developed in SCADA HMI program. It is expecting to reduce the average time for each outage about 33%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efficiency of operation, execution of DAS from automatic load transfer under a fault, and to contribute to export project.

배전자동화시스템(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과 변전자동화시스템(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은 전력계통을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운용하는 주된 시스템으로, 현재 독립적으로 운영됨으로 인해 신속하게 처리되어야 하는 고장처리 및 활선작업처리가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왔고, 이에 따라 DAS-SCADA 연계 연구가 요구되었다. 연계방법으로 직접연계, 웹연계, DAS 기능부 전력량계를 이용한 연계가 2005년 1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한전 사업소에서 시범 운영되었고, 그 결과 투자비용 면에서 직접연계방법이 웹연계 방법에 비해 약 1.3배 높지만 다양한 변전소 운전정보 전달의 신속성, 제어기능 우수 등의 타당성이 입증됨으로써 직접연계방법에 의한 DAS-SCADA 연계가 2010년까지 한전 사업소에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될 계획이다. 시범 운영시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변전소 개체별 통신 방법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방안으로 개선하여 연계DB 자동구축 기능 및 연계시스템 진단/Log 기능을 개발하였다. 연계데이터 포인트와 통신데이터 종류를 정의하고, SCADA HMI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변전소 단선도 자동생성 기능, 변전소 단선도 수동편집 기능, SCADA 감시 제어기능 및 이력관리 기능을 개발하였다. DAS-SCADA 연계시 정전건당 평균시간을 약 33% 단축하여 전력공급 신뢰도를 향상하고, 배전 계통운영센터와 변전소간 활선작업 처리절차 축소로 전력계통 효율적 운영에 기여하고, 나아가 고장시 부하절체 자동처리로 완전한 배전자동화 실현 및 해외 수출화 사업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AS-SCADA 연계시행 추진계획”, 한전 배전처, 2007
  2. “DAS-SCADA 연계 DB 구축방법 개선 시행”, 한전 배전처, 2008
  3. “배전변압기 감시제어 기능이 통합된 지능형 배전자동화 시스템 개발(최종보고서)”, 전력산업기반조성센터, 2008
  4. “배전자동화 시스템 광역화 운영에 관한 연구(최종보고서)”, 한전 전력연구원, TR.B04.S2008.0132, 2008
  5. B.N.Ha, H.H.Lee, “Interface betwee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nd SCADA to Minimize the Feeder Los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hibition 2002:Asia Pacific. IEEE/PES, Vol.3, pp.2096-2099, Oct. 2002 https://doi.org/10.1109/TDC.2002.1177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