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 Factors of Public Wi-Fi in the Jeju Province

제주도 공공와이파이의 입지 특성과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흥순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최승호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하민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임하원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오윤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성아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1.10.19
  • Accepted : 2021.12.09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Jeju's public Wi-Fi policy for which the key factors of public Wi-Fi us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in a 100 m radius of public Wi-Fi access points. In the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was public Wi-Fi usage time whil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demographic factors, location factors, and other factors. The findings reveal tha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residents, the number of workers, and the number of visitors ha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use of public Wi-Fi. In addition, the number of bus stops and land prices of each parcel, land use mix, and AP installation perio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se of public Wi-Fi.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buildings by use, the total floor area of buildings, and the number of tourist attraction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ublic Wi-Fi usage time. These finding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at more active publicity on Jeju's public Wi-Fi is needed and the convenience for access needs to be improved.

이 연구는 제주도의 공공와이파이 정책의 실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입지특성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공공와이파이 사용시간을 종속변수로 인구요인, 입지요인, 기타요인으로 구분하여 공공와이파이 설치 지점(AP) 반경 100m를 대상으로 공간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거주인구 수, 근무자 수, 방문자수 등 인구요인은 모두 공공와이파이 사용시간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버스 정류장 수 및 개별 공시지가, 토지이용 혼합도, AP 설치기간 역시 공공와이파이 사용시간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용도별 건축물 수, 건축물 연면적, 관광지 수의 경우 공공와이파이 사용시간과 음의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로부터 제주도 공공와이파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접속을 위한 편의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1), https://www.wififree.kr/index.do
  2. 구철모.유문정.전유희.이지민.정남호(2016), "관광경험에서의 스마트폰 활용 행태와 사용자 임파워먼트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지식경영연구」, 17(1): 155-174.
  3. 김도우.박준휘(2018), "공간분석을 활용한 CCTV 입지 최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동작구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7(4): 381-415.
  4. 이건학(2012), "대학 캠퍼스 주변의 와이파이 지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2): 51-66.
  5. 이건학(2018), "공공 CCTV의 공간 분포 특성과 가시커버리지에 기반한 최적 입지", 「대한지리학회지」, 53(3): 405-425.
  6. 이민정.김영호(2014), "유동인구 및 인구밀도를 활용한 안산시 방범용 CCTV의 입지모델링 연구", 「국토지리학회」, 48(4): 533-546.
  7. 이수희.이건학(2014), "지역 간 모바일 격차 측정과 공공 와이파이 입지 최적화", 「한국지도학회지」, 14(3): 73-89.
  8. 이영진(2013), "지하철 유동인구가 역세권 지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9. 이희연(2004), "우리나라 인터넷 산업의 공간분포와 지역간 격차 유발요인 분석", 「국토계획」, 39(7): 175-192.
  10. 이희연(2005), "인터넷 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공간적 집적화", 「국토계획」, 40(2): 33-51.
  11. 임하나.이수기.최창규(2016), "서울시 토지이용 혼합유형과 보행량의 연관성 실증분석", 「국토계획」, 51(7): 21-38. https://doi.org/10.17208/jkpa.2016.12.51.7.21
  12. 장은덕(2019), 「공공와이파이 구축.운영 실태 및 개선과제」, 서울: 국회입법조사처(입법.정책보고서 Vol. 30).
  13. 정희상.김준형.노고산.박주호.이정훈.이준환.김일규(2018), "공공 와이파이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3(5): 64-75. https://doi.org/10.22648/ETRI.2018.J.330507
  14. 제주공공와이파이, "제주 공공와이파이를 도내 어디서나 무료로!", 2021.09.01 읽음, https://wifi.jeju.go.kr/main.
  15. 제주도청 정보정책과(2020), https://www.jeju.go.kr/join/evaluation/part7/11.htm
  16. 진창종.이향숙.추상호(2012),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통행발생모형 추정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73: 131-143.
  17. 홍일영(2010), "WiFi의 공간분포와 이용특성", 「한국지도학회지」, 10(1): 55-64.
  18. Grubesic, T. H. and A. T. Murray (2004), ""Where" Matters: Location and Wi-Fi Access", Journal of Urban Technology, 11(1): 1-28. https://doi.org/10.1080/1063073042000341952
  19. Torrens, P. (2008), "Wi-Fi Geographie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8(1): 59-84. https://doi.org/10.1080/00045600701734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