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gional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and Life SOC Service Gap Analysis: A Case of Chungcheongnam-do

지역의 삶의 질 만족도와 생활SOC 서비스 격차분석: 충청남도를 사례로

  • Received : 2021.09.23
  • Accepted : 2021.10.08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Despite the rapid economic growth, people's quality of life has not been improved and the regional and hierarchical disparities of it have deepened. We analysed regional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nd it was found that non-capital regions, provinces and rural areas compared to Seoul and capital region, metropolitan cities, and urban areas respectively, show a relatively lower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quality of life. An in-depth analysi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shows that the trend was similar to that of the national analysis.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a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 and middle-aged, and this trend was similar regardless of region. Young people living in the Dong area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than the middle-aged and elderly living in the Myeon area. It was observed the level of Life SOC services in urban areas have been better than the one in rural areas. However, there i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ansion of Life SOC,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rgue that the government intervention to expand Life SOC will improve the citizen's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future supply policy of the Life SOC should be based on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linki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in progress rather than supplying a Life SOC that provides a single service. Furthermore, in rural areas it is essential to enhance user demand by combining several services in supply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ing the services.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삶의 질이 좋아지지 않고 지역적·계층적 격차 심화는 고민이다. 지역별 삶의 질 격차를 분석결과, 서울과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광역시에 비해 광역도가,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를 대상으로 심층분석 한 결과 전국적인 분석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고령자들이 청년과 중장년에 비해 삶의 질 만족도가 낮았고, 이러한 경향은 지역에 상관없이 비슷하였다. 단, 상대적으로 동지역에 거주하는 청년이, 면지역에 거주하는 중장년과 고령자의 삶의 질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최근 강조되고 있는 생활SOC 서비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도시지역은 우수한 반면 농촌지역은 열악하였다. 한편, 삶의 질 만족도와 생활SOC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로의 명확한 인과관계는 발견되지 않아 생활SOC의 확충이 주민의 삶의 질 만족도를 높인다고는 단정하기 어렵다. 이에 향후 생활SOC 공급 정책은 공급수요와 삶의 질 만족도에 주는 영향을 보다 세밀히 분석하고, 한정된 재원으로 생활SOC사업이 추진되는 만큼 양적 공급 못지않게 그 속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은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SOC의 공급보다는 필요한 여러 기능을 복합화하여 이용자 수요를 확보하고, 관리 효율화를 함께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광용.고명철(2017), "미국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만족도와 지역사회 삶의 질 간 상관성 분석: Peterson의 정책유형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2): 27-55.
  2. 국토교통부(2019), 「2018년 주거실태조사」, 세종.
  3. 공공데이터(국토지표)(2019), 생활SOC 위치 원자료.
  4. 국토교통부(2020), 「2019년 주거실태조사」.
  5. 김현철(2020), "글로벌 경제 대변혁과 한국", 충남연구원 특강자료(2020.2.3.).
  6. 문경주(2014), "지방정부의 동태적 효율성과 지역사회의 삶의 질 및 지방정치구조 변화와의 상관성 분석: 16개 광역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1): 1-31.
  7. 박대식.마상진(2007), "도시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지수화 방안 연구", 「농촌경제」, 30(4): 31-55.
  8. 배민기.조택희(2016), "삶의 질 특성에 따른 지자체 유형화 및 정책방향: 충청북도를 사례로", 「지방정부연구」, 20(3): 133-154.
  9. 양진향.권영숙(2005), "도시와 농촌 지역 성인여성의 생활양식, 건강실태 및 삶의 질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2(1): 6-14.
  10. 이승철(2011), "도시유형별 삶의 질 수준과 영향요인: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5(2): 97-119.
  11. 충청남도(2020), "2019년 충남사회지표조사 원자료".
  12. 통계청(2020), "통계청GIS 집계구 원자료".
  13. 통계청(2020), "한국사회조사 원자료".
  14. 허만형(2014), "지방정부의 삶의 질 영향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방정부연구」, 18(3): 231-254.
  15. Campanera, J. and P., Higgins (2011), "Quality of Life in Urban-Classified and Rural-Classified English Local Authority Areas",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43(3): 683-702. https://doi.org/10.1068/a43450
  16. Ismail, R., M. H. Hafezi and R. M. Nor (2014), "The Comparison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n Quality of Life and Marital Hapines in Sub-Urban and Rural Area in Malaysia", Research Journal of Aplied Sciences, Engineering and Technology, 7(7): 1418-1425. https://doi.org/10.19026/rjaset.7.411
  17. Shucksmith, M., S. Cameron, T. Meridew and F. Pichler (2009), "Urban-Rural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ross the European Union", Regional Studies, 43(10): 1275-1289. https://doi.org/10.1080/00343400802378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