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ecting Optimum Management Practices according to Project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Project Performance

건설 프로젝트 특성에 따른 성과 제고가 가능한 최적 공사 관리기법 선정 방안

  • Received : 2011.02.01
  • Accepted : 2011.09.28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The importance of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problems is rising, which are followed by the hardships of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applies the improvements made by the operator's work, in order to apply factors of success on the construction project, as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s. In addition, in order to predict the results reflecting the project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 un-improvable by the operator in the initial stage of construction, the effect of project characteristic to the performance was drawn by performance difficulty.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ed performance, researches on setting valid best practic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erritory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best practices improvable through the operator's work, and the performance was made.

건설 산업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성과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성과관리체계의 개발과 적용이 미흡하여 건설 프로젝트에 스스로의 수준을 파악하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우수한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적합한 정보 제공이 힘들어 관리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의사결정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개선여부가 고려되지 않고 혼재 되어있어서 성과 관리 요소로서 성공요소를 적용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시공자의 노력에 따른 개선여부에 의해 분류하였고, 성과관리 요소로 이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건설 초기단계에서 시공자의 노력으로 개선 불가능한 성과관리 요소인 프로젝트 특성을 반영한 성과를 예측하기 위해, 프로젝트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성과달성 난이도로 도출하여 예측하였다. 또한 예측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성과와 공사 관리기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성과 영역별로 시공자의 노력으로 개선 가능한 최적 공사 관리기법(Best Practices)을 규명하고, 이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진 (2011), "건설 초기단계에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한 최적 공사 관리기법 선정 방안", 아주대학교 건축공학 석사학위논문.
  2. 신강용, 차희성 (2008), "초기단계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한 리스크 평가 및 예측 툴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9(5), pp.168-175.
  3. 신용일, 김한수 (2004), "건설사업 성과측정기법 비교분석 및 성과측정 Best Practice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3), pp.109-116.
  4. 유일한, 김경래, 정영수, 진상윤, 김예상 (2004), "건설산업의 비교 가능한 성과측정 모델 framework",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Vol.5 (5), pp.172-182.
  5. 이동훈, 김선국, 최재휘, 이원석 (2010), "국내 건설산업 특성을 고려한 기업의 벤치마킹 프로세스",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1(6), pp.24-34
  6. 한미파슨스 (2008), "Construction Management A to Z", 보문당.
  7. 장유진, 박문수, 이현수 (2008), "중소건설기업을 위한 웹 기반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683-686.
  8. 조영선, 차희성 (2010), "건설프로젝트 특성과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1(6), pp.78-88
  9. 차희성, 김태경 (2008), "건설프로젝트 효율적 성과관리를 위한 핵심 지표 체계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9(4), pp.120-130.
  10. Albert P.C. Chan, David Scott, Ada P. L. Chan (2004),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January/February, pp,153-155.
  11. Anthony D. Songer, Keith R. Molenaar (1997), "Project Characteristics for successful public-sector designbuild",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pp.34-40.
  12. Armstrong.M, and Baron. A (2004)," Managing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in action", London: Chartered Institute of Personnel and Development.
  13. D.K.H. Chua, Y.C.Kog, P.K.Loh (1999), "Critical Success Factros for Different Project Objectiv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ASCE, pp.142-150.
  14. Evalgelidis. K (1992), "Performanace measured performanace gained", the Treasurer, No. February, pp.45-47.

Cited by

  1. Measuring project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optimal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building construction in South Korea 2017, https://doi.org/10.1007/s12205-017-01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