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duction of Change Management Factors and Weight Estimation based on ANP in Urban Renewal Project

ANP 기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변화관리 요인 도출 및 중요도 산정

  • 신승윤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손명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2.02.22
  • Accepted : 2013.04.23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For urban renewal projects progressing in large scale, it carries a characteristic that frequently changes the environment, subject, law, plan and the like by a demand from various participants and internal/external factors. As such large-scale urban renewal projects have a lot of possibilities of change, it requires setting a plan to recognize the possible variable factors by each project operation stage and to manage it systematically by defining the variable factors on the basis of working process of the entire project. Therefore this research has produced a factor of main variable management based on working process for systematic variable management on the projects that inherent various possibilities of change as urban environment refurbishment projects. And it also suggests the status of main variable factors characterized by project operation stages quantitatively through reflecting external and internal features for variable factors produced from utilizing ANP methodology.

대규모로 진행되는 도시환경정비사업의 경우, 다수의 참여주체의 요구 및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사업의 환경, 주체, 법규, 계획 등이 빈번히 변화되는 특성을 지닌다. 이처럼 대규모로 진행되는 도시환경정비사업에서는 다수의 변화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전체 사업의 업무프로세를 기반으로 변화요인을 정의하여 사업추진단계별로 발생 가능한 변화요인을 사전에 인지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환경정비사업과 같이 다수의 변화 가능성이 내재된 사업의 체계적인 변화관리를 위하여, 업무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주요 변화관리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ANP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출된 변화요인들에 대한 외적, 내적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사업 추진단계별 특성화된 주요 변화요인들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구 (2009). "도시재생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가치관리 방안".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가람.유정호 (2010).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변경관리 업무프로세스 제안".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0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393-397
  3. 김경호 (2011). "도시.주거환경정비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승범.전인오.양해술 (2008). "국방정보화의 실시간 전략적 변화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5권 2호, pp. 5-8
  5. 김일구 (2011). "BPMN 모델링을 통한 현행 도시재생사업의 업무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재욱.류한국.손보식.최윤기 (2009). "대규모 입체.복합도시재생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업무프세스 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9권 제1호, pp. 617-620
  7. 문근찬 (2006). "혁신과 변화관리". 한티미디어
  8. 상남규 (2010). "도시재생사업에서의 협력적 사업시행방식과 절차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서울시 (2010). "2020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수립 고시안"
  10. 서울시립대학교 (2010). "메가프로젝트 건설관리시스템 개발". 도시재생사업단 4차년도 연구보고서
  11. 소용성.오승준.김용수 (2002). "공정 및 변경관리 통합시스템 개발을 위한 모듈제안에 관한 연구". 정기학술발표 논문집, 제2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393-397
  12. 오승준 (2002). "공정관리와 변경관리 시스템의 통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유지영 (2008). "도시개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승수 (2009). "도시재생사업 시행 프로세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희병 (2007). "도심 정비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리스크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조주현 (2010). "도시.주거환경 정비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SH공사 (2007). "세운4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사업제안서"
  18. Davenport, T., H., (1992). "Process Innov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19.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08).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Fourth Edition"
  20. Satty, T. (1996).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RWS Publications, PA
  21. Tomas, T. (2006). "Change Management Handbooks"

Cited by

  1. Development of Change Management System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 vol.15, pp.2,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2.079
  2. 컨테이너 터미널의 사물인터넷(IoT)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vol.36, pp.2, 2013, https://doi.org/10.38121/kpea.2020.06.3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