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al Time Safety Management Framework at Construction Site based on Smart Mobile

스마트모바일 기반의 실시간 현장안전관리 프레임워크

  • Received : 2011.05.04
  • Accepted : 2013.05.06
  • Published : 2013.07.31

Abstract

Recently, as the size of construction projects is getting bigger and higher, construction disasters have been being serious such as death, also it is hard to manage efficiently since there are plenty of informations about safety management. Thus on the spot & real time safety management is required and one of the ways to support these needs, conjunction with Information Technology(IT) has been being noticed. Accordingly,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Palmtop Computer and Tablet Personal Computer and so on have been adopted. However another inefficient sides are showed up such as limitation of equipment(weight, inconvenience of control and others). Meanwhile, exchanging and processing data are improved at wide area due to advance of mobile communication and introduction of smart mobile, which is a simple and convenient, is a proven at many aspects. In this research, to support effective safety management, the framework is realized in connection with smart mobile with finding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and deriving demands. Two smart mobile applications, which ar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and Safety Guideline application, enable that safety management in real time, less re-work and using safety information.

최근 건설 산업이 대형화, 복잡화됨으로써 건설 재해가 사망 등의 대재해로 변화하고 있으며, 안전관리에 관한 많은 정보의 능률적인 관리가 어려워, 실시간적인 안전관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Information Technology와의 연계를 통한 해결책이 점차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고, 최근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Palmtop(팜탑 컴퓨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건설 현장에 도입되었지만, 장비의 무게, 조작의 불편함 등(의 장비의 한계와 등의 문제로 인해) 또다른 비효율적인 면이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최근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에 힘입어 넓은 지역에서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의 실시간적인 교환과 처리가 향상되었고, 가볍고 사용이 간편한 스마트모바일의 도입으로 많은 부분에서 적용성이 입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찾아서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새로운 관리 도구로써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모바일과의 연계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현장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구현한다. 개발되는 두 가지 스마트모바일 어플리케이션(현장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안전가이드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장의 안전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현장사무실에서의 재입력 혹은 재작업을 감소시키며, 안전정보의 즉각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병섭 (2009). "건설현장의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2. 노동부 (2007). 2007년 산업재해현황분석, pp. 1-12
  3. 박정훈 외 2인 (2010), "스마트폰 기반의 ERP 시스템 Framework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6권 제10호, pp. 123-130
  4. 양용철.최훈.김재준 (2004).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선과 공정관리와의 연계운영 방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23-135
  5. 염대억 (2008), "건설공사 안전관리 현황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우송대학교
  6. 이광표.이현수.박문서.김현수.백윤주 (2010). "건설 안전관리를 위한 실시간 위치추적(RTLS)기술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1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06-115 https://doi.org/10.6106/KJCEM.2010.11.2.106
  7. 정재우.김태양.김항수.조영준 (2007). "건설공사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691-694
  8. 최민수 (1999). "건설공사 안전관리 체계의 개선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9. 최철호 (2004) "건설분야에서의 RFID 시스템 활용사례 및 발전방향",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4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45-149
  10. Bowden, S. et al. (2005). "Making the Case for Mobile IT in Construction". 2005 ASCE International Conference, pp. 1-12
  11. Bowden, S. et al. (2006). "Mobile ICT support for construction process improve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v. 15 n. 5, pp. 664-676 https://doi.org/10.1016/j.autcon.2005.08.004
  12. Chen, Y. and Kamara J. M. (2008). "Using mobile computing for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management".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v. 15 n. 1, pp. 7-20 https://doi.org/10.1108/09699980810842034
  13. Dong, A. et al. (2009). "Construction Defect Management using a Telematic Digital Workbench". Automation in Construction, v. 18 n. 6, pp. 814-824 https://doi.org/10.1016/j.autcon.2009.03.005
  14. Oh, I. O. et al. (2010). "Unit Technology Integration Scenario for the Application in Construction Work Sit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tworked Computing and Advanced Information Management, pp. 472-477
  15. Irizarry, J. and Gill, T. (2009). "Mobile Application for Information Access on Construction Jobsites". 2009 ASCE International Conference, pp. 176-185
  16. Schneider, M. (2003).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in the Commercial Construction Industry". University of Kentucky
  17. Peinado, S. P. et al. (2009). "RFID-based Quality and Safety building site improvement during execution phase", 35th Annual Conference of IEEE, pp. 2659-2664

Cited by

  1. Application of Serious Games for Effective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vol.15, pp.1,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