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Removing Road Shields from Mobile Mapping System of the Laser Data using RTF Filtering Techniques

RTF 필터링을 이용한 모바일매핑시스템 레이저 데이터의 도로 장애물 제거에 관한 연구

  • 송현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강병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공간정보공학과) ;
  • 이성훈 ((주)지온텍코리아) ;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1.09.02
  • Accepted : 2012.02.0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It is a global trend to give attention to generating precise 3D navigation maps since eco-friendly vehicles have become a critical issue due to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depletion of fossil fuels. To date, Mobile Mapping System (MMS) has been a efficient method to acquire the data for generating the 3D navigation maps. To achieve this goal so far in the Mobile Mapping System using the data acquisition method has been proposed to be most effective. For this study the basic RTF filter algorithm was applied to modify to fit MMS quantitative analysis derived floor 99.71%, 99.95% of the highly non-producers to maintain accuracy and high-precision 3D road could create DEM. In addition, the roads that exist within the cars, roadside tree, road cars, such as the median strips have been removed to shields it takes to get results effectively, and effective in practical applications and can be expected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is considered.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환경보전이나 석탄자원 고갈 등의 문제로 인해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밀 3차원 도로 지도제작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현재까지 MMS을 이용한 데이터 획득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공 레이저 측량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목적으로 개발된 기본적인 RTF 필터 알고리즘을 MMS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도출된 정량적 분석 결과 지면은 99.71%, 비지면은 99.95%의 매우 높은 제작자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로 내에 존재하는 자동차, 가로수, 중앙분리대 등의 도로 장애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실무 작업에 효과적인 적용 및 작업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승식, 2004, 항공 라이다 데이터 필터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 김문기, 2005, 라이다를 이용한 도로망 추출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석사학위논문.
  3. 이정호, 한수희, 유기윤, 변영기, 2004, 라이다자료의 필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471-475.
  4. Axelsson P, 2000, DEM Generation from Laser Scanner Data Using Adaptive TIN Models, In IAPRS, Vol. 33. Part B4/1, pp.110-117.
  5. Vosselman G., 2000, Slope Based Filtering of Laser Altimetry Data, IAPRS, Vol 33, Part B3, Amsterdam, The Netherlands. pp.935-942.
  6. Gunho Sohn and Ian Dowman, 2007, A Modelbased Approach for Reconstructing a Terrian Surface from Airbone LIDAR Data, The Photogrammetric Record 23(122), pp.170-193.
  7. Gunho Sohn, 2004, Extraction of Buildings from High-Resolution Satellite Data and Airbone LIDAR, Ph.D, Department of Geomatic Engineering University College London.

Cited by

  1. 건설현장에서의 토공량산출을 위한 저가형 모바일 레이저시스템의 적용성 평가 vol.30, pp.6,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2.30.6-1.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