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nzulli 수학 영재 교수-학습 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0900
  • Accepted : 20090900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In this paper we apply to Renzulli'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in university. Gifted students were very positive reaction in solving problems creatively using this program, and they were challenging and very confident performing new tasks. They reacted variously in debates with their classmates, in self-initiative studying. So more positive changes are needed for the activities using the gifted learning-teaching program to let each student have full use of his or her possibility and potential.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희, 장영숙, 박숙희, 정태희, 임희준(2000).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 교육인적자원부(2001).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의 개요.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공청회 발표 자료, 서울:한국교육개발원.
  3.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1998).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개념 모형 개발, 교육과정연구, 15(2).
  4. 김홍원, 윤초희, 윤여홍, 김현철(2003). 초등 영재학생의 지적, 정의적 행동특성 및 지도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방승진(2000). 과학영재 교육센터에서의 수학영재교육의 운영 실태, 제18회 수학교육 심포지엄 발표논문, 대한심포지엄 발표논문, 대한수학회.
  6. 신세호(1979). 영재교육의 이론.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43.
  7. 장언효, 조석희(1980). "영재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8. 조석희(2000), "우리 나라 수학 영재교육 현황 및 발전 전망", 제18회 수학교육 심포지엄 발표논문, 대한수학회.
  9.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 중장기 종합 발전 방안. 2000.
  10. Clark, B. (2002). Growing up gifted. Merrill Prentice Hall.
  11. Clark, B. (1986). The Integrative Education Model in the Classroom. Ohio: Bell and Howell Company.
  12.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4.
  13. Renzulli, J. S. & Reis, S. M.(1985). The Schoolwork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 T.: Creative Learning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