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for Ecological Environment Conservation - Centering on an Area in the Gyeonggi Province -

생태환경 보전을 위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 - 경기도 일원에의 사례 적용 -

  • Choi, Hee-Sun (Division of Strategic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Park, Ju-hyeon (Division of Strategic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Kim, Hyeon (Dept. of Green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 최희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박주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김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Received : 2010.09.03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ctive movement toward databasing, systematizing, and unify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efforts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in environment conservation officially planned at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levels. This in turn clarifies the management direction of space, thereby serving as an effective tool with which to not only conserve land, but also provide a reasonable compromise to all the related solutions at odds with one another. As such, this study forwards a method for inclus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in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lace, with in such a planning method, of the natural ecosystem, arguably the most sensitive arena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can be broadly divided as follows: first, basic direction; second,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third, compilation of status of spatial environment; and fourth, management strategy for spa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second phase, namely the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delineates clearly spatial information hitherto amassed by government agencies at both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the ensuing lists facilitate maximum utilization of the previously accumulated data. Used during the planning phase, status map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status of land use(land cover), but also systematic data on the superior resources of the natural ecosystem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given spatial environment. Establishing plans for ecological networks, thei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spects, this study sought to formulate ways in which to spatialize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that encompass consideration for the natural ecosystem. Devised based previous studies and examples, the compilation of status and plans as stated, applied to Gyeonggi Province, afforded an examination of the potential applicability and usability of the proposed plans. Ultimately, these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stablishment of plans encompassing consideration for the value and level of significance of the given natural ecosystem in spatial development planning, but als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nvestigating appropriateness of plans and validity of location in any regional development plan.

최근 국가적으로 환경정보들을 DB화하고, 체계화하며 통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있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도시 및 지역차원에서 수립하는 법정계획인 환경보전계획의 공간계획화를 더욱 용이하게 하며, 이는 공간의 관리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함으로써 토지의 보전은 물론 이용과 관련된 각종 계획들 간의 상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도록 합의하는데 용이한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보전계획의 공간계획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특히 환경요소 중 가장 민감한 자원으로 인식되는 생태환경을 중심으로 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환경 계획 수립방안은 계획과정을 고려해 크게 1)기본방향, 2)공간정보의 수집, 3)공간환경현황 작성, 4)공간환경 관리계획 수립으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현황파악 및 계획수립 시 필요한 공간정보는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나 지자체 차원에서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목록화 하였다. 계획수립 시 고려되는 현황도는 토지이용(토지피복)과 자연생태 우수자원/지역 현황 작성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광역생태축 계획과 보전, 복원지역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생태환경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의 공간화를 모색하였다. 기존연구 및 사례들을 통해 마련한 현황 및 계획방안은 경기도 지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계획은 관련 공간개발계획 수립 시 생태적 가치와 중요도를 고려한 계획안 마련에 기여함은 물론, 지역 내 개발사업 추진 시 계획의 적정성과 입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기초자료와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환경정보체계에 기반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 II(2010)

Supported by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2005) 경기도 녹지보전제도 개선방안.
  2. 광주시(2006) 2020 광주시기본계획(안).
  3. 국토해양부 주택토지실(2010)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4. 김귀곤(2008) 지속가능 환경생태계획론. 드림미디어.
  5. 박창석, 이현우, 김시헌, 최영국, 박상미(2004) 지역환경보전을 위한 환경계획과 환경평가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6. 변혜선(2009) 충북광역도시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충북개발연구원 보고서.
  7. 송인주(2010) 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 활용 확대방안. 서울시 생태도시포럼 발표자료.
  8. 성현찬, 이동근, 옥진아, 신지영(2005), 경기도 녹지보전제도 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9. 오동하(2006) 부산 생태네크워크 구축방안연구. 부산발전연구원 보고서.
  10. 이상대, 송인주(2002) 우리나라 공간계획과 환경계획간 연계체계 및 실태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7): 29-44.
  11. 이상대, 김현정(2009) 경기도형 도종합계획 수립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2. 이천시(2009) 이천시 도시기본계획.
  13. 최막중, 최봉문, 이양재, 윤원근, 서순탁, 이창수, 이삼수, 김태경, 윤혜정, 장남종, 문채(2009) 국토이용관리체계의 개편방향. 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333: 3-12.
  14. 최희선 , 엄정희, 이길상, 권영한, 선효성, 성현찬, 이영준, 전동준, 정주철, 주용준(2009) 환경정보체계에 기반한 공간환경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마련.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5. 환경부(2002) 국토생태네트워크의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16. 환경부(2003) 국토환경보전계획 수립 연구.
  17. 환경부(2004a)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18. 환경부(2004b) 백두대간보호지역 지정기준.
  19. 환경부(2007)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기준.
  20. 환경부 국토환경정책과(2009) 사전환경성 검토 업무매뉴얼.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Model based on Biotop Mapping - A Case study of Larg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Area - vol.19, pp.4,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