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Xi'an Castle Park in China

중국 서안시 명성곽공원의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Kim, Dong-Chan (College of Art and Design, Kyunghee University) ;
  • Ma, Yuan (Center for Landscape Research in Design Research Institute, Kyunghee University)
  • 김동찬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 마원 (경희대학교 부설디자인연구원 조경연구센터)
  • Received : 2010.10.22
  • Accepted : 2011.01.03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grasp the use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based on citizen consciousness to improve future design. This study employs a combination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related materials were collected to obtain the most useful information for references, and the POE study of the Xi'an Ming City Wall Park was conducted. The survey instrument is a questionnaire that includes questions regarding Xi'an Ming City Wall Park.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17.0 for Windows). Through the POE analysis of the usage status and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affect the user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paces and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found.Xi'an Ming City Wall Park requires extensive modification to meet the demands of citizens. Several shortcomings are hampering the development of the park. The rest space and the nightscape seem to be the two most problematic aspects in the park. The nightscape design should be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e overall park design in the futur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ajor population visiting the park is the elderly, s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ag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improvement decisions are made, and the facilities and activities suitable to elderly people should also be increased.

본 연구는 앞으로의 조경계획 및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해 서안 명성곽공원을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중국 도시공원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는 문헌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문헌조사는 서안명성곽 및 명성곽공원의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현장 조사는 현장관찰과 서안명성곽공원 이용에 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사회 과학 통계 분석 프로그램(SPSS17.0 for Window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용실태와 공간 및 시설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결과, 휴식공간과 야경이 가장 큰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공원 설계 시 휴식공간과 야경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계획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서안명성곽공원을 방문하는 주요 연령층은 노인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서안명성곽공원 설계 시 시대의 특성을 반영하고 노인층을 위한 적합한 시설을 증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미(2004) 역사문화유산 보전을 위한 주민참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수원 화성(華城)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동훈(2003) 수원 화성경내의 보전과 회복에 관한 연구: 점.선.면 요소 분석에 의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서광석(2009) 중국 서안시(西安市):한.당 성운의 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93: 33.
  4. 이양주(2007) 중국의 공원녹지정책 사례연구. 서울 : 경기개발연구원.
  5. 최형석(1992) 성곽주변공원의 이용특성 및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 4: 83-101.
  6. 최호운(2000) 문화재 주변 경관 고도규제에 관한 연구 :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Cui, Yongfeng(2008)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Research on Recreational Urban Public Space. Ph.M.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ang'An.
  8. Gao, Qin(2007)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in Urban Park-A Case Study on Beijing Black Bamboo Park. Ph.M. Dissertation. University of Beijing Forestry.
  9. Gwon, Ohbok(2004) The Study on the Outdoor Space of Comprehensive Stadium through POE Metho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angmyung.
  10. Ma, Yuan(2010) A Study on City Wall Parks for Revitalizing Historic Citi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yunghee.
  11. Zhang, Yu(2006)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Initial Research on the Urban Park in Harbin. Ph.M.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east Forestry.
  12. http://www.baid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