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Community Awareness in Local Residents after the Restoration of Seongnaecheon

성내천 복원 후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의식에 대한 연구

  • Kim, Nam-Su (Chungsuk Engineering Co., Ltd.) ;
  • Lee, In-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eoul) ;
  • Kim, Yong-Ge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김남수 ((주)청석엔지니어링) ;
  • 이인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용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4.11
  • Accepted : 2011.08.16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the country, urban rivers have been covered over and developed without forethought and thus became estranged from spaces utilized by area residents in everyday life. Recently, an influx of people and uses have increased largely because accessibility improved through restoration projects which have transformed these river areas into pleasant environments. It thus appears that these projects have an impact on community consciousness for area residents who live near the restored rivers to some ex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via questionnaire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urban river restoration on area residents targeting visitors to Seongnaecheon(stream), Songpa-gu, Seoul, which has been restored recently. Factors in the questionnaire analysis included such items as the use status of Seongnaecheon, community consciousness(feeling of belonging, solidarity, feeling settled), and a before and after comparison of the restoration(change of consciousness, regional effects), et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visitors who have utilized the stream more than 1~2 times per week after the restoration project accounted for the greatest portion. The main purposes of these visits were to 'rest' and 'exercise' while the ratio of using it as a 'meeting space with neighbors and strangers' was low. Community consciousness of area residents using Seongnaecheon was generally hig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consciousness differences between groups after dividing visitors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visi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level between groups with high community consciousness levels in visitors who visited frequently. In consideration of these results, the provision of programs along with proper facilities that can be used is deemed important for area residents so as to inspir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area by means of activating both community activities and the progressive use of the restored river.

도시하천은 산업혁명 이후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무분별하게 복개 개발되어 지역주민들의 일상적 삶의 공간에서 멀어졌다. 최근 도시하천 복원사업이 진행되면서 접근성이 개선되고 쾌적한 환경으로 변모하여 사람들의 유입과 이용이 크게 늘면서 복원된 하천 주변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 의식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도시하천의 복원이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최근 복원된 서울시 송파구 성내천을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분석의 인자는 크게 성내천의 이용현황, 커뮤니티 의식(소속감, 연대의식, 정주의식), 복원사업 전후 비교(커뮤니티 의식변화, 지역효과 변화)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성내천 복원사업 후 일주일에 1~2회 이상 이용하는 방문객이 가장 많았다. 이들의 주된 방문목적은 '휴식 및 운동'이었고, '이웃이나 타인을 만나는 장소'로 이용하는 비율은 낮게 나타났으며, 성내천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커뮤니티 의식은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다. 방문빈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 커뮤니티 의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커뮤니티 의식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방문횟수가 많은 집단에서 커뮤니티 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복원된 도시하천이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이용과 커뮤니티 활동을 활성화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커뮤니티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과 프로그램 제공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정(2007) 담장허물기 사업으로 인한 보행환경의 변화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준(1998) 지역사회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홍기(2005) 열린 문화 공간 계획을 통한 도시 수변공간의 창의적 재생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도경석(2000) 현대주거의 유형별 거주자의 커뮤니티 의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현찬(2009) 한강지천의 르네상스: 물을 매개로 한 도시기능의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9) 도시하천 생태관리를 위한 기초조사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송병화, 양병이(2006)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복개하천의 환경친화적 복원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과천 양재천 복개하천 복원사업을 사례로. 환경복원녹화 9(2): 33-44
  8. 송영태(2006) 생태개념을도입한복개지상 상가아파트의복원과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심정선(2005) 도시하천의 인문․사회적 복원 계획.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규찬(2007) 복원된 도시복개하천이 주민의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승준(2002) 원주천의 유역권 설정 및 환경관리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승한(2003) 생태적 수공간을 도입한 송파 커뮤니티 센터 계획.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임용호(2007) GIS기반의 도시하천 복원경로 추적모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조현길, 안태원(2006) 도시하천의환경특성과친자연적 계획전략: 춘천시 공지천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3): 1-11
  15. 정재희(1993) 도시주택단지의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최유진(2007) 서울시 양재천과 성북천 복원에 대한 주민의식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황지영(2008) 청계천 복원 사업 이후 서울시 청계천 이용자 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눈문.
  18. Glynn. T. J.,(1981) The psychology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Human Relations 343(9): 789-818
  19. McMillan, D. W. and Chavis, D. M.(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 Nasar. J. L. and Julian, D, A. (1995) The psychologyical sense of community in the neighborhood. Jou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1(22): 178-184. https://doi.org/10.1080/01944369508975631